국제 국제일반

MS발 IT 대란 '무풍지대' 중러…디커플링의 역설?

홍콩 SCMP 보도

홍콩 국제공항 환전소 키오스크의 모니터가 시스템 오류로 정지돼 있다 .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 캡처홍콩 국제공항 환전소 키오스크의 모니터가 시스템 오류로 정지돼 있다 .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 캡처




전 세계를 덮친 마이크로소프트(MS) 클라우드발 '정보기술(IT) 대란'이 중국과 러시아의 인프라에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는 외신 보도가 나왔다. 미국 주도의 글로벌 공급망에서 배제되는 ‘디커플링’(decoupling)의 역설로 평가된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20일 업계 소식통과 소셜미디어 게시물 등을 근거로 세계적인 MS발 IT 대란에도 중국의 항공사와 국제공항, 은행을 비롯한 금융기관 등 주요 인프라는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다고 전했다. MS의 중국 웹사이트와 소셜미디어 계정은 아무런 비상 공지를 띄우지 않았다.



최근 미국 마이크로소프트의 윈도우즈 운영체계(OS)를 사용하는 미국과 유럽, 아시아 등 세계 곳곳에서 '죽음의 블루스크린'(BSOD·Blue Screen Of Death)으로 불리는 오류가 동시다발적으로 터져 나와 대혼란이 빚어졌다. 공항 전산망이 멈추거나 항공편 결항·지연 사태가 속출했다. 이번 사태는 미국의 IT 보안업체 크라우드스트라이크가 보안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하는 과정에 MS 운영체제 윈도와 충돌을 일으켜 MS 클라우드 서비스에 차질이 빚어지면서 발생했다.

관련기사



중국이 이번 사태에서 비교적 자유로울 수 있었던 이유는 MS와 크라우드스트라이크와 같은 외국 서비스 제공 업체에 대한 의존도가 낮아졌기 때문이라고 SCMP는 진단했다. 이는 미국의 디커플링에 맞서 중국이 과학기술 자립을 추진해 온 결과라는 의미다.

중국은 최근 몇 년 간 정부 부처와 주요 인프라 운영 주체를 대상으로 외국 하드웨어와 시스템을 국내 하드웨어와 시스템으로 교체하기 위한 캠페인을 전개해 왔다.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중국 국영기업을 감독하는 국유자산감독관리위원회(SASAC)는 지난 2022년 9월 극비 문건을 통해 미국 등 해외 소프트웨어를 중국 업체 제품으로 교체하라는 지시를 내렸다. 당시는 중국 기술 기업에 대한 반도체 수출 통제와 제재를 강화하면서 반도체 등 첨단 기술을 둘러싼 미·중 간 갈등이 고조되는 시점이었다.

한 중국 정부 직원은 중국에서 이번 사태의 영향이 미미한 것에 대해 "중국이 안전하고 제어 가능한 컴퓨팅 시스템이라는 목표를 달성하는 데 진전을 이뤘다는 것을 증명한다"고 말했다.

반면 중국과 달리 홍콩은 항공편 운항과 탑승수속 서비스가 지연되거나 멈췄고 중국에 진출한 글로벌 호텔 체인 등 외국계 기업들은 이번 MS발 IT 대란에서 벗어나지 못했다고 SCMP는 전했다.

러시아도 2022년 2월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서방의 제재를 받게 된 이후 MS와 같은 서방 기술을 대신할 대체 시스템 사용이 증가한 덕분에 이번 IT 대란의 타격을 받지 않았다는 분석이 나온다. 드미트리 페스코프 크렘린궁 대변인은 19일 브리핑에서 MS 클라우드발 세계적 IT 장애를 언급하며 "크렘린궁(러시아 대통령실)의 모든 것은 장애 없이 작동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번 사태와 관련해 러시아 타스 통신은 러시아 기업들이 지난 2∼3년간 MS 시스템을 다른 상품으로 전환해왔기 때문에 큰 영향을 받지 않았다는 전문가들의 분석을 전했다.


박경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