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2030년까지 해외투자개발사업 수주액 100억 달러(약 13조 9000억 원) 달성을 목표로 내걸었다. 이를 위해 연내 1조 1000억 원 규모의 해외 플랜트·인프라·스마트시티(PIS) 2단계 펀드를 결성하고, 공공기관을 앞세워 패키지 사업 수주 기반을 조성할 계획이다. 지난해 윤석열 대통령이 순방한 베트남 박닌성 일대에 판교 규모의 신도시를 만드는 '박닌성 동남신도시' 사업을 시작으로 도시개발분야 진출도 확대하기로 했다.
국토교통부는 23일 오전 열린 경제관계장관회의를 통해 이 같은 내용을 담은 ‘해외 투자개발사업 활성화 방안’을 발표했다.
투자개발사업은 사업 참여자가 기획·개발, 금융조달 및 시공, 운영·관리 등 사업 전 단계를 실행하는 것을 가리킨다. 발생하는 손익을 지분에 따라 분배해 수익률이 높다. 특히 건설사 뿐 아니라 발전사, 도로공사, 기자재 업체, 금융회사 등 사업 전반에 걸친 수주가 가능해 전·후방 파급 효과와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우리기업의 해외 수주는 발주처가 원하는 대로 건물·교량 등을 짓는 단순 도급사업에 94.7%(2019~2023년 평균)가 쏠려 있다. 업계에선 투자개발사업 수익성이 10%대로, 3~5% 수준인 도급 사업보다 2배가량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박상우 국토부 장관은 “고부가가치 상위시장인 해외 투자개발사업 분야 진출을 확대할 시점”이라면서 “이를 위해 공공이 적극적으로 역할을 하며 민간과 함께 참여하는 선단형 수주를 활성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부는 투자개발사업 수주 기회 확대를 위해 높은 대외 신인도와 정부 협상력을 가진 공공기관을 전면에 내세울 계획이다. 우선 정상외교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공공기관이 전략 국가 및 프로젝트를 선정 후 매년 투자개발사업 지원계획을 마련한다. 예컨대 철도공사와 도로공사, 공항공사, 주택공사 등 전문 공공기관이 민관합동 진출 전략을 새로 수립해 민간 연계방안 등을 마련하고, 초기부터 기본계획 수립과 설계·자문 등 노하우를 지원해 진출기반을 다지는 것이다. 이를 위해 앞으로 공공기관 경영평가 기준에 '해외 투자개발사업' 내용을 반영하고 예비타당성 조사 평가 가이드라인을 마련하는 등 공공의 투자개발사업 참여 촉진을 유도할 예정이다.
국토부 산하기관인 한국해외인프라도시개발지원공사(KIND)의 기업 지원 기능도 강화한다. 우리 기업이 사업 주도권을 확보할 수 있도록 카인드의 지분 투자 비중을 기존 최대 30%에서 50%로 확대하고 대주주 자격 확보도 허용한다. 또 카인드의 투자요건도 개선해 현행 ‘시공 수주’ 위주에서 ‘기자재·차량 등 유관산업의 동반진출 효과’ 등을 투자시 함께 고려하도록 한다. 아울러 정책적 금융 지원이 빠르게 이뤄지도록 1조 1000억 원 규모 PIS 2단계 펀드를 연내 조성해 내년부터 투자를 시작할 예정이다.
국토부는 건설사들의 ‘K-신도시’ 수출 지원에도 나선다. 특히 지난해 윤석열 대통령의 베트남 외교 성과인 ‘박닌성 동남신도시’를 도시 수출 1호 프로젝트로 추진한다. 김상문 국토부 건설정책국장은 “정부는 무상 정부개발원조(ODA)와 대외경제협력기금(EDCF)과 연계해 K-신도시 수출 사업을 지원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부는 또 이르면 내년부터 건설사들의 ‘역량’을 판단하는 대표적 지표인 시공능력평가에 해외 투자개발사업 실적을 포함키로 했다. 아울러 건설·투자 뿐 아니라 IT·스마트팜·제조업 등 타 산업 분야와 동반 진출할 수 있도록 공동 수주활동도 지원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