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치일반

[단독] 이재명, 22일 文 만난다…계파갈등 봉합 나서나

신임 지도부와 경남 양산 평산마을 방문

‘명문정당’ 강조했지만…文 외면한 ‘개딸’

文 “대업 앞에 어느 편 섰는지 안 중요”

文-신임 최고위원 간 인연·악연에도 관심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지난 2월 4일 경남 양산시 하북면 평산마을 문재인 전 대통령 사저에서 문 전 대통령과 인사를 나누고 있다. 사진=더불어민주당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지난 2월 4일 경남 양산시 하북면 평산마을 문재인 전 대통령 사저에서 문 전 대통령과 인사를 나누고 있다. 사진=더불어민주당




8·18 더불어민주당 전당대회를 통해 선출된 ‘2기’ 이재명 지도부가 오는 22일 문재인 전 대통령을 예방한다. 전대 기간 동안 ‘개딸(개혁의 딸)’로 대표되는 이재명 대표 강성 지지층들의 ‘비명(비이재명)계 솎아내기’ 작업이 있었던 만큼, 다시 당권을 잡은 이 대표가 직접 나서 갈등 봉합과 함께 ‘원팀’ 민주당 만들기에 나서는 것으로 보인다.

19일 민주당에 따르면 이 대표와 박찬대 원내대표, 김민석·전현희·한준호·김병주·이언주 최고위원과 새로 임명될 지명직 최고위원 등 신임 지도부는 22일 경남 양산 평산마을을 찾아 문 전 대통령을 만난다. 이 대표와 문 전 대통령이 만나는 것은 지난 5월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 15주기 추념식 이후 석 달 만이다. 당시 두 사람은 봉하마을 노 전 대통령 사저에서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 조국 조국혁신당 대표와 함께 환담을 나눴다.



관건은 두 사람의 만남으로 이번 전대를 거치면서 더욱 깊어진 민주당 내 계파 간 갈등의 골을 얼마나 메울 수 있을지 여부다. 문 전 대통령은 지난 대선 당시 이 대표가 민주당 후보로 선출된 이후부터 ‘명문(이재명·문재인) 정당’을 강조하면서 ‘친문(친문재인)’과 ‘친명(친이재명)’은 한 몸이라는 점을 강조해왔다. 그럼에도 일부 친명 지지층들은 대선 패배의 책임을 문재인 정부로 넘기면서 문 전 대통령의 탈당까지 요구해왔다.

관련기사



이러한 움직임은 이번 전대 과정에서 더욱 도드라졌다. 일부 최고위원 후보들은 문재인 정부에서 요직을 차지했거나 친문 인사들과 가깝다는 이유만으로 강성 지지층들의 ‘낙선 리스트’에 이름을 올렸다. 전대 당일에는 문 전 대통령의 영상 축사가 행사장에 송출되자 일부 당원들이 야유를 보내는 모습도 포착됐다.

정작 문 전 대통령은 영상 축사에서 “당내 경쟁에서 어느 편에 섰는지는 우리의 대업 앞에서 중요하지 않다”면서 ‘분열’을 경계해야 정권 재창출이 가능하다고 짚었다. 문 전 대통령은 “(지금은) 자부심을 바탕으로 다시 민주당 정부를 세우기 위해 힘을 모아야 할 때”라며 “지금의 지지에 머무르지 말고 세대를 폭넓게 아우르며 전국에서 고르게 지지받는 정당으로 더욱 확장시켜 나가자”고 강조했다.

두 사람의 만남 못지않게 새로 선출된 최고위원들과 문 전 대통령과의 과거 인연에도 관심이 쏠린다. 전현희·김병주 최고위원은 문재인 정부에서 각각 국민권익위원장과 한미연합사 부사령관(4성 장군)을 역임하면서 문 전 대통령과 인연을 이어갔다. 반면 이언주 최고위원은 2017년 제19대 대선 당시 민주당을 탈당하고 안철수 후보의 국민의당에 입당한 악연이 있다. 이 자리에서 문 전 대통령과 이 최고위원이 7년 전의 앙금을 풀 수 있을지 주목된다.

한편 민주당 신임 지도부는 이날 문 전 대통령 예방과 함께 경남 김해 봉하마을도 찾아 노 전 대통령 묘역을 참배하고 권양숙 여사를 예방할 계획이다. 이에 앞서 19일에는 국립서울현충원에 위치한 고(故) 김대중 전 대통령 내외 묘역을 찾아 참배할 예정이다. 민주당 관계자는 “당의 어른인 전직 대통령에 대한 예우 및 신임 지도부 구성에 따른 인사 차원의 일정”이라고 설명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8일 서울 송파구 KSPO DOME(올림픽체조경기장)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제1차 정기전국당원대회에서 신임 최고위원들과 당원들에게 인사하고 있다. 권욱 기자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8일 서울 송파구 KSPO DOME(올림픽체조경기장)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제1차 정기전국당원대회에서 신임 최고위원들과 당원들에게 인사하고 있다. 권욱 기자


정상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