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가 지난해에 이어 올해까지 2년 연속 ‘파업 위기’를 겪을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사상 최악의 철강업 불황 속에 포스코 사측이 노조의 요구에 미치지 못하는 기본급 인상안을 제시하면서다. 포스코 노조는 1968년 창사 이후 56년 동안 단 한 차례도 파업을 단행하지 않았다.
19일 철강 업계에 따르면 최근 포스코 사측은 노조에 기본임금 5만 원 인상을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노조가 임금 및 단체 협상 초기부터 요구했던 기본임금 8.3%(약 25만 원) 인상안 대비 20% 수준에 불과하다. 사측은 올해 지속되는 철강 시황 부진으로 포스코의 경영 실적이 지난해 대비 급감한 만큼 이를 고려해 임금 수준을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포스코는 올 2분기 지난해 동기(1조 210억 원) 대비 절반 이상 하락한 4970억 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1분기에는 이보다도 낮은 3390억 원이었다.
조합원들 사이에서는 불만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지난해 벌어졌던 창사 이래 첫 파업 위기가 올해 다시 한번 재연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노조 측은 “회사의 임금 제시안은 현장의 불만을 해소하기에 턱없이 부족하다”며 “회사가 현 조합원들의 기대를 충족시키기 위한 의지가 없는 한 더 이상의 교섭은 의미가 없다”고 밝혔다.
포스코 노사는 지난해에도 기본임금 인상 규모에 대한 입장 차가 계속되며 총 24차례 교섭을 진행했다. 그럼에도 협상이 마무리되지 않자 노조는 중앙노동위원회 조정 신청서를 내고 파업권을 확보하기도 했다. 이후 중노위의 조정 끝에 노사는 ‘기본임금 10만 원 인상’ 합의안을 도출했다. 이 합의안에 대해서 노조원 과반의 찬성(50.9%)으로 임단협이 타결됐지만 끝까지 반대(49.1%)의 목소리 역시 컸다.
한편 포스코 사측 관계자는 “어려운 경영 여건 속에서 올해도 노조와의 지속적인 대화를 통해 최적의 해법을 찾아가겠다”고 말했다. 사측은 기본임금 5만 원 인상 외에도 자녀 장학금 한도 인상(3자녀 이상시 무제한), 현행 의료비 지원 제도를 부모·자녀까지 확대 등을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