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정부가 ‘한중관계 복원’을 전제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방한 가능성을 언급한 것에 대해 중국은 ‘적합한 분위기’와 ‘풍성한 성과’를 전제조건으로 제시했다.
마오닝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2일 정례 브리핑에서 “중국과 한국은 이웃 국가이자 서로에 중요한 협력 파트너”라며 “중한 관계의 건강하고 안정적인 발전을 추진하는 것은 양국의 공동 이익에 부합하고, 고위급 교류는 국가와 국가 관계의 발전을 추동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말했다.
마오 대변인은 이를 두고 “동시에 충분한 준비를 하고 적합한 분위기를 조성할 필요가 있다”며 “또 풍성한 성과를 얻을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현재로선 구체적으로 제시할 정보가 없다고도 덧붙였다.
마오 대변인의 발언은 최근 수년간 경색된 한중 관계 상황이 더욱 개선되고 양국이 분야별 쟁점 관련 충분한 사전 소통을 통해 ‘성과’를 만들어야 한다는 일종의 조건을 제시한 것으로 풀이된다.
한국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전날 기자들과 만나 지난 5월 서울에서 열린 한일중 정상회담과 한중정상회담 이후 상호 고위급·실무급 교류와 소통을 이어가고 있다며 “중국도 예년과 달리 정상적 한중관계 복원에 관심이 있는 것은 사실이며 상호 교류를 회복하면 언젠가 시 주석이 방한할 수 있다고 본다”고 언급했다. 이 관계자는 “당장 정해진 것은 없지만 지금처럼 한중관계를 복원해 나가면 그런 상황(시 주석의 방한)도 올 수 있다”고 덧붙였다.
시 주석은 박근혜 정부 시절인 지난 2014년 7월 국빈 방한을 끝으로 10년 넘게 한국을 찾지 않았다. 문재인 전 대통령이 임기 중인 2017년 12월과 2019년 12월 두 차례 방중했지만 시 주석의 답방은 없었다. 한국 정부는 이번에는 시 주석이 한국을 방문할 차례라는 입장이다. 이에 대해 중국은 구체적 언급은 하지 않았지만 지난 정권의 일이었던 만큼 어느 한 쪽의 차례가 정해져 있는 것은 아니라는 반응이다.
시 주석은 지난해 9월 항저우 아시안게임 개막식 참석차 방중한 한덕수 국무총리를 만나 “방한 문제를 진지하게 검토하겠다”고 말했다고 우리 정부 측에서 밝히기도 했다.
윤석열 대통령은 취임 후 시 주석 방한을 기대한다는 의사를 여러 차례 표명했다. 시 주석도 작년 11월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가진 윤 대통령과 첫 정상회담에서 “코로나 상황이 어느 정도 안정되면 윤 대통령 방한 초청에 기쁘게 응할 것”이라면서도 “상호 편리한 시기에 윤 대통령이 중국을 방문해 주기를 희망한다”며 방중 우선 순위는 없다는 의사를 분명히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