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여명] ‘포털 길들이기’가 끝나고 나면

김경훈 디지털편집부장

글로벌 빅테크 AI 기술 앞서가는데

국내기업, '그물 규제'에 역차별 우려

'포털 불공정' 논란속 정치권 압박도

발목잡힌 플랫폼 경쟁력 상실 불보듯





“설마했는데 이게 정말 되네. 다른 인공지능(AI)에 물어봐도 한 번도 맞힌 적 없는 문제들을 한글로 한 번에 풀어버리다니.”



챗GPT를 개발한 오픈AI가 13일 공개한 AI 모델 ‘o1’이 성능 테스트를 위한 난해한 수학 문제와 논리학 문제를 단숨에 해결하자 국내 관련 커뮤니티에서는 찬사가 쏟아졌다.

샘 올트먼 오픈AI 대표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시작”이라며 “AI는 이제 다양한 목적으로 복잡한 사고를 할 수 있게 됐다”고 단언했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인간 수준의 AI인 범용인공지능(AGI)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 중 하나”라며 “단계별 추론을 수행하고 미리 계획을 세우도록 가르치는 것은 인간과 같은 인지능력을 갖춘 AGI를 개발하는 데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이라고 후한 평가를 내놓았다.

매주 2억 명 이상의 사람들이 챗GPT를 사용하고 있다는 미국 매체 악시오스의 최근 보도를 굳이 들추지 않더라도 AI는 이미 인류의 삶과 미래를 예측하는 데 ‘상수’로 자리 잡았고 인간을 넘어서기 위해 쉼 없이 진화 중이다.

AI 기술 패권을 향한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의 움직임은 분주하다. 텍스트를 넘어 이미지·영상·음성 등 다양한 형태로 입력된 정보를 분석하고 추론할 수 있는 ‘멀티모달(Multi Modal)’ 모델뿐 아니라 사람과의 자연스러운 대화가 가능한 모델까지 앞다퉈 내놓으면서 경쟁은 불을 뿜고 있다.



글로벌 빅테크는 AI 서비스로 기업은 물론 일반 소비자를 상대로도 수익을 내는 단계에 올라섰지만 국내로 눈길을 돌려보면 이야기는 많이 달라진다. 기존 서비스에 AI 기술을 적용해 수익성을 끌어올리는 틈새시장 공략 전략으로 맞서고 있는 네이버는 소비자들에게 돈을 받고 팔 상품 자체가 없다. 다음은 아직까지 자체 생성형 AI를 내놓지도 못했다.

관련기사



네이버는 자체 개발한 생성형 AI 모델 ‘하이퍼클로바X’가 일반 지식과 한국 특화 지식을 종합한 전반적인 성능에서 빅테크 AI와 경쟁할 수 있는 수준임이 확인됐다고 했다. 하지만 막대한 자본력으로 무장한 글로벌 빅테크의 거침없는 질주를 따라잡기에는 갈 길이 너무 멀어 보인다.

대선과 총선 등 굵직한 선거 앞뒤로 어김없이 반복되는 정치권의 압박 속에 포털 업계는 힘든 시간을 보내고 있다.

문재인 정부에서는 여당이 대선을 앞두고 플랫폼 규제 법안인 ‘온라인플랫폼공정화법’을 내놓았고 이번 정부 들어서는 공정거래위원회가 ‘플랫폼공정경쟁촉진법’을 추진했다. 시장에서 영향력이 큰 기업을 지배적 플랫폼 사업자로 미리 정해서 불공정 행위들을 뿌리뽑겠다는 내용이 담겼다.

정부는 토종 기업들의 성장을 가로막아 국내 산업이 후퇴할 것이라는 각계의 거센 반대 여론에 부딪혀 법 제정 대신 공정거래법 개정으로 방향을 틀고 핵심으로 꼽혔던 ‘사전지정제’ 방침도 거둬들였다. 하지만 빅테크는 ‘규제 그물’에서 빠져나가고 네이버와 카카오만 역차별을 받을 것이라는 지적은 여전하다.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 탓에 선뜻 투자에 나서기도 힘든 마당에 총선이 끝난 뒤 뉴스에 민감한 정치권의 눈이 포털을 향할 것이라는 우려도 현실이 됐다. 국민의힘 포털 불공정 개혁 태스크포스(TF)는 지난달 19일 네이버 사옥을 직접 찾아가 “포털 뉴스가 좌편향으로 기울어진 운동장이라는 평가를 받아왔고 네이버는 방관하며 무책임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뉴스 노출 알고리즘에 대해 합리적이고 공정한 관리·감독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며 뉴스 유통 과정의 불공정성을 공개적으로 문제 삼았다.

방송통신위원회 산하에 포털위원회를 설치해 사실상 제휴평가위원회를 법정 기구화하자는 주장까지 여권에서 다시 힘을 키우면서 압박 수위는 계속 높아지고 있다.

“글로벌 빅테크와 맞서 싸울 토종 플랫폼이 없다면 우리 시장은 누가 지켜낼 건가.” “미래 사회 경쟁력과 생존에 직결되는 AI 경쟁에서 국내 기업 발목만 잡는 규제 정책은 과연 누구를 위한 것인가.”

정치권의 ‘포털 길들이기’가 끝나고 나면 늘 들려오는 질문들이다. 다시 이 질문들을 마주하게 될 때는 빅테크들과 제대로 한 번 붙어보지도 못한 우리 기업들이 이미 경쟁 무대에서 내려오고 난 뒤일지도 모른다.


김경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