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 인공지능(AI) 분야의 ‘기초체력’이라고 할 수 있는 인재 파워도 약하다. 주요국 보다 규모가 작을 뿐 아니라 이로 인해 국제협력 같은 질적인 지표도 떨어지는 실정이다. 이에 기술 추격은 물론 앞으로 다양한 분야에 AI를 응용할 AI 전환(AX) 시장 경쟁에 대비하려면 무엇보다 인재 육성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16일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의 ‘국가전략기술 연구개발(R&D) 인력 실태 조사’에 따르면 지난 6년 간 집계된 한국의 AI 분야 연구자 수는 2만 1000명으로 나타났다. 중국(41만 1000명·1위)과 미국(12만 명·3위)은 물론 일본(3만 5000명·5위)과 영국(2만 9000명·6위) 등에도 뒤처진 9위에 머물렀다. 양적 열세는 질적 열세로도 이어지는 양상이다. 지난 6년 간 가장 많은 논문을 쓴 상위 500명 중 한국 연구자는 5명으로 1% 비중에 그쳤다.
한국이 주요국과 비교해 인구 대비 AI 연구자 수가 적다고 할 수는 없지만 ‘AI G3(3대 강국) 도약’이라는 목표를 달성하려면 인재 규모 자체부터 적극적으로 늘려야 한다는 게 전문가의 지적이다. 특히 상위 연구자들의 논문 절반은 국제협력을 통해 나오는 상황인데 한국은 상위 연구자가 많지 않으니 협업 상대로 인기가 높지 않다. 미국 연구자들의 국제협력 상대 중 한국의 비중은 2.7%로 9위, 중국에게 한국은 2%로 11위에 불과했다. 미국 스탠퍼드대 인간중심AI연구소(HAI)의 AI 인재 지표상으로 한국이 인재 유출국으로 분류된 것도 이 같은 국내외 연구 기회의 차이와 무관치 않다는 분석이 따른다.
대통령 직속 국가AI위원회 부위원장인 염재호 태재대 총장은 “현재 AI대학원 등 정부의 인재 육성책이 있지만 빅데이터나 코딩 같은 기술 외에도 이를 응용해 법률·금융·교육 등 분야에서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기법을 개발할 인재가 필요하다”며 “이를 위해서는 AI 문화 확산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거대언어모델(LLM) 같은 핵심기술이 빅테크에 선점당한 상황에서 투자 확대를 통한 추격도 중요하지만 그 너머의 시장 기회에 초점을 맞추고 인재 정책을 세워야 한다는 것이다.
정부는 지난달 말 국가AI위원회를 출범하며 2030년까지 AI 인재 20만 명 육성을 목표로 한 ‘4대 AI 플래그십 프로젝트’를 발표했다. 2027년까지 65조 원 규모의 민간 투자를 이끌어내고 2조 원 규모의 ‘국가AI컴퓨팅센터’를 구축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