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국내증시

배터리 소부장, 중저가 모델서 활로 찾는다

IRA 폐기 공언한 트럼프 당선에

전기차 수요 둔화로 타격 우려

고급차용 제품 집중 전략 탈피

LFP·미드니켈 등 사업 다각화

서울의 한 주차장에서 전기차들이 충전하고 있다. 연합뉴스서울의 한 주차장에서 전기차들이 충전하고 있다. 연합뉴스




‘트럼프 리스크’에 직면한 배터리 소부장 업계가 중저가형 시장에서 활로를 찾고 있다. 전기차 보조금을 지급하는 인플레이션감축법(IRA) 폐기를 공언해온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재선으로 전기차 수요 둔화에 따른 배터리 기업의 타격이 예상되고 있다. 이에 고급 또는 대형 전기차에 주로 탑재되는 고부가 2차전지 소재에 집중하던 업체들은 가격 경쟁력이 우수한 리튬인산철(LFP)·미드니켈 등 신 제품 개발을 서두르겠다는 구상이다. 보조금이 축소 될 경우 고급 전기차보다는 중저가 전기차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질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11일 배터리 업계에 따르면 국내 주요 배터리 소재 업체들이 기존 주력 제품인 하이니켈 양극재 외에 다른 소재로의 사업 다각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값비싼 금속에 속하는 니켈 비중이 높은 하이니켈 양극재보다 20% 이상 저렴한 LFP 또는 미드니켈 양극재를 신 제품으로 앞세워 새로운 고객사를 확보하겠다는 전략이다.



엘앤에프(066970)는 지난달 진행한 애널리스트 대상 투자 설명회에서 대구에 위치한 구지공장 안에 100톤 규모의 LFP 배터리용 양극재 시제품(파일럿) 생산 라인을 구축했다고 설명했다. 해당 소재를 양산하기 앞서 여러 고객사로부터 품질 평가를 받고 있는 단계다. LFP 소재를 비롯한 사업 다변화를 추진해 2029년까지 기존 사업 외에 3조5000억 원의 추가 매출을 확보하겠다는 것이 회사 측 계획이다.

관련기사



에코프로비엠(247540)은 친환경 공법을 적용해 중국과 차별화된 LFP 소재를 개발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이를 위해 현대차그룹과 협력해 폐기되는 고철을 재활용해 원가를 크게 낮출 수 있는 LFP 배터리 양극재 기술을 구현하기로 했다. 현대제철이 재활용 철을 이용해 미세 철 분말 공정 기술을 개발하고 에코프로(086520)비엠이 이를 받아 LFP 양극재를 만든 뒤 현대차·기아차가 기술 내재화를 하는 구조다. 이번 프로젝트에는 정부도 사업비를 지원하는 등 상용화에 힘을 싣고 있다.

에코프로비엠이 새롭게 진출하는 소재 분야는 LFP에 그치지 않는다. 대표적인 신 제품인 고전압 미드니켈 양극재는 복수의 업체들과 공급을 논의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 소재는 니켈 함량을 60~65%로 낮춰 니켈 비중이 90% 이상인 하이니켈 양극재보다 가격 경쟁력이 뛰어나다. 일반적으로 니켈 함량을 줄이면 에너지 용량이 감소하는데 전압을 높임으로써 에너지 밀도가 하이니켈 양극재에 비해 크게 뒤떨어지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LFP 배터리 셀 양산을 추진 중인 장비 업체도 있다. 피엔티(137400)는 국내 2차전지 장비 업계 내 매출 1위 기업으로 기존에 쌓아온 기술력을 기반으로 LFP 시장 진입에 나섰다. 이를 위해 경북 구미에 LFP 배터리 셀 생산 라인을 세우고 있다.

이처럼 국내 배터리 소부장 업계가 중저가형 2차전지 시장 진출에 속도를 내는 것은 이미 악화된 전기차 업황이 더욱 침체 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으로 분석된다.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은 후보 시절 북미에서 생산한 전기차에 보조금을 주는 IRA를 폐기하겠다고 공언한 바 있다. NH투자증권은 7일 보고서를 통해 “트럼프 당선인이 IRA를 폐기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이지만 행정명령을 통해 보조금과 공제 혜택을 줄이는 방안을 검토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트럼프 행정부가 집권 이후 실제 어떤 전기차 정책을 펼칠지는 아직 정해지지 않았지만 조 바이든 행정부 때의 전기차 활성화 정책과는 방향성이 완전히 달라진다는 얘기다.


김기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