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탐지 불능 스텔스 워리어] 은밀 침투 정찰로봇

HIDING <b>ROBOTS</b>

정찰은 유용한 정보를 얻을 수 있지만 인간 병사의 투입이 너무 위험할 때도 있다.

이때는 인간 대신 로봇을 보내면 될 것이다.


작년 봄 록히드 마틴의 첨단기술연구소는 바로 이런 역할을 할 정찰로봇 프로토타입을 선보였다.

이 로봇은 센서를 사용, 주변 환경에 녹아들며 잠재적 위험을 스스로 감지한다. 적 병사의 시선을 탐지, 최적의 은폐·엄폐 장소를 택할 수도 있다.

차세대 정찰로봇은 이에 더해 한층 강력해진 인공지능과 스텔스 능력을 보유하게 될 전망이다. 이스라엘 테크니온공과대학 산하 바이오로보틱스·바이오메카닉스연구소가 개발한 '스네이크봇'이 그 본보기다.

6개의 발을 가진 이 로봇은 실제 뱀처럼 하수관으로 침투, 마루 아래를 기어갈 수도, 똬리를 틀고 몸을 세워 좋은 시야를 확보할 수도 있다. 특히 몸의 관절을 떼어놓고 오는 것도 가능하다. 도청기나 암살용 폭탄 설치에 매우 유용한 기능이다.

지능형 센서
4개의 지향성 마이크로폰이 스네이크봇에 접근하는 인간의 소리를 감지한다. 각 마이크로폰에 도달하는 소리의 시간 차이를 측정해 접근 중인 사람의 위치와 방향, 속도를 파악함으로써 은폐해야 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자연스런 움직임
스네이크봇은 폴리머 소재의 마디가 유연한 관절로 연결돼 있다. 각 관절은 전기모터로 구동되며 별도의 소프트웨어가 관절의 동작을 제어한다.

관련기사



이렇게 이 로봇은 상황에 따라 몸을 굽히거나, 구르거나, 지그재그로 움직이는 등 최적의 동작을 취한다. 계단이나 장애물을 넘을 수도 있다.

일례로 몸을 회전하는 것처럼 옆으로 움직이는 사이드와인딩(sidewinding) 이동은 속도가 빠르지만 높은 정지마찰력이 필요하고 아래위로 물결치며 나아가는 방식은 느리지만 좁은 공간에서 효과적이다.




현장 맞춤형 위장복







전투복의 위장무늬는 불규칙적 무늬로 뇌를 혼동시킨다. 병사의 외곽선을 분명히 인식하지 못하도록 해 위장 효과를 내는 것. 하지만 위장 무늬도 약점은 있다. 숲, 사막 등 모든 환경에서 쓸 수 있는 무늬 패턴이 없다는 사실이다.

이 점에 주목한 미국의 소프트웨어 기업 스페셜 오퍼레이션 앱스(SOA)는 지역 맞춤형 위장무늬 프린팅 기술 개발에 한창이다. 소프트웨어가 인공위성·무인항공기·정찰대 등이 촬영한 임무 지역의 사진을 조합하여 최적의 위장무늬를 산출, 군복에 인쇄하는 방식이다. 특히 이 방식은 다양한 초점거리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통합한 만큼 눈이 깊이감을 느끼지 못해 위장 효과가 탁월하다는 설명이다.

지금껏 이 같은 현장 밀착형 위장무늬 프린팅은 특수부대의 전유물이었고 그나마 휴대성은 완전히 '꽝'이었다. 반면 SOA의 프린팅 장치는 비닐 소재 기판과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로 제작돼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활용할 수 있다. 이 회사는 최근 이 기술에 대한 특허를 출원했다.



파퓰러사이언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