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자가용 셀프 견인장치

너드라이버라면 한번쯤 인적이 드문 비포장도로나 진창에 바퀴가 빠져 고생해본 경험이 있을 것이다. 2001년 서울에 거주하는 신 모씨는 이런 상황에서 운전자 혼자 간단히 웅덩이에 빠진 바퀴를 빼낼 수 있는 ‘셀프 견인장치’를 개발, 특허를 출원했다.

관련기사



이 장치는 앞바퀴 휠의 홈에 부착하는 삼발이 형태의 걸개 2개와 이 걸개에 연결돼 있는 긴 와이어로 구성돼 있다. 만일 자동차가 웅덩이나 모래사장에 빠졌을 경우 걸개를 앞바퀴 휠의 홈에 끼우고 와이어의 끝을 주변의 나무나 전봇대 같은 고정된 지지물에 묶은 뒤 차량을 천천히 구동시키면 된다. 그러면 바퀴가 회전하면서 와이어가 얼레에 감기게 되고, 줄이 팽팽해진 순간부터 지지물 쪽으로 차량이 끌려나온다. 와이어가 얼레에 감길수록 마치 지지물이 차량을 잡아당기는 것과 동일한 인력(引力)이 발생되는 원리다.

출원인의 주장대로 충분한 인력이 생성된다면 시간적, 금전적, 정신적 스트레스를 피할 수 있어 자동차의 필수품으로 자리매김할 수도 있어 보인다. 하지만 특허청의 등록 결정에도 불구하고 출원인이 특허료를 불납해 권리가 소멸됐다. 차량을 끌어낼만큼의 강한 인력을 버틸 만큼 바퀴 휠의 내구성이 좋지 못해 걸개가 빠져버리는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니었을지 추정해본다.

파퓰러사이언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