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변별력 강화에 초점 맞춘 SAT

오는 2016년 봄, 미국 대학입학을 희망하고 있는 전 세계 10대 젊은이들은 새로운 대학입학시험(STA)에 직면하게 될 전망이다. 기존 STA와 가장 크게 달라진 점은 문제의 틀에 있다. SAT를 주관하는 대학위원회는 기존 기계적 암기위주의 교습법을 대신해 논리력과 변별력에 초점을 맞춘 문제 출제를 평가팀에 주문했다. 여기 그 결과물이 나와 있다.


평가팀 팀원 짐 패터슨이 기존 시험과 새로운 시험에서 어휘 문제를 예시해 개편된 시험 이면의 논리를 설명했다.

기존 시험문제

래리가 진정한 ________(이)라는 데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
그의 이야기를 들은 사람들은 빠져들지 않을 수 없을 만큼 이야기를 잘했다.

(A) 허풍쟁이 braggart (B) 호사가 dilettante (C) 좀도둑 pilferer
(D) 오리발쟁이 prevaricator (E) 이야기꾼 raconteur

문제의 예문이 제시하는 맥락의 크기는 비교적 작다. 이 예문을 접한 학생들은 정답이 효과적인 이야기 전달과 관련된 것이라는 점 외에는 아무 것도 짐작할 수 없다. 따라서 맥락과는 상관없이, ‘이야기꾼’이라는 말이 일반적으로 품고 있는 뜻에 대한 지식에 기반에 답변을 적어야만 한다.

어떤 사람들은 정답이 (E)이야기꾼임을 알아챘을 것이다. 하지만 학생들이 수업 시간의 토론이나 교과서에서 ‘이야기꾼(raconteur)’이라는 단어를 접해 보았을 가능성은 비교적 낮다. 즉 이것이 정답인줄 알려면 그 단어의 뜻을 별도로 공부해야 한다.

이 시험 문제의 난이도는 비교적 높은 편이다. 그 이유는 이야기꾼이라는 단어의 모호성에도 있다. 그러나 학생들이 오답들의 정확한 뜻을 정규교육 과정을 통해 배웠을 가능성이 낮다는 것도 높은 난이도에 한 몫을 담당 한다.


VS.

관련기사



새로운 시험문제

예문
리처드 플로리다가 저술한 The Great Reset에서 발췌.

(...) 향후 수십년 동안, 고도의 직업 수와 혁신기술력, 생산력을 보유한 대도시나 도시 지역의 수는 지금보다 줄어들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일부 지역은 인프라의 한계 이상으로 팽창하게 될 수 있다. 물론 다른 지역도 발전을 위해 분투하겠지만, 인적 및 인프라 부족은 그들의 어두운 미래를 예상케 한다.

문제: 55행에서 쓰인 ‘고도의’의 뜻과 가장 가까운 단어는 무엇인가?

(A) 감정적 (B) 집중 (C) 탁월함 (D) 굳은 결심

학생들은 ‘고도의’라는 단어를 다양한 영역의 학술 자료 독해 또는 토론을 통해 접해 보았을 가능성이 높다.

여기 나온, 답일 가능성이 높은 지문은 기존 어휘에 의존하지 않는다. 따라서 학생들은 언어의 모호성에 기반한 인위적 장벽이 없이 가지고 있는 지식을 드러내 보일 수 있다.

보기는 모두 ‘고도의’라는 말의 동의어다. 따라서 문제에서 원하는 ‘고도의’라는 말의 엄밀한 의미는 예문에 나온 맥락에서 유추해야 하며, 또한 맥락 자체에 의존해야 한다.




“문제 출제 시 애매모호하지 않고 명확하며, 묻고자 하는 점이 무엇인지를 쉽게 알 수 있도록 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의 혼선을 줄이고자 합니다. 특히 개편된 SAT 시험은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보고 싶은 마음이 들 정도로 멋져야 합니다. 또한 편안한 느낌이 들 만큼 친숙해져야 합니다.”
-신디 슈마이저: 대학위원회 수석 평가관 겸 선임 출제위원

파퓰러사이언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