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2015 상생 컨퍼런스 특강 2] 펑지라이 신타오 수석연구원

"중국 진출 외국 기업들, 'CSR 현지화' 꾀하라"

세계 최대 시장으로 부상한 중국은 한국 기업들의 미래가 달려 있는 곳이다. 중국의 CSR 동향을 파악하고 적절한 대응 전략을 수립하는 것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의 문제가 됐다. 특히 중국은 최근 CSR에 대한 정부와 민간의 요구가 빠르게 커지고 있다는 진단이다.

중국의 유력 CSR 컨설팅기관인 신타오의 펑지라이 수석연구원은 “중국 정부가 CSR을 장려하기 위해 CSR 관련 규제를 많이 만들고 있다”며 “한국을 비롯한 외국 기업들은 중국에서 불고 있는 CSR 트렌드를 파악해 CSR 활동을 현지화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중국 당국의 CSR 관련 규제는 2008년부터 본격화하기 시작했다. 그 해 선전 증권거래소는 기업들의 상장 관련 지침에 CSR을 처음 포함했다. 아울러 중국사회과학원은 중국 최초의 CSR 지침을 내놓았다. 이 지침을 바탕으로 여러 가지 CSR 지침이나 보고서가 잇달아 등장했다. 특히 중국의 모든 국영기업들에게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국유자산관리감독위원회는 기업들에게 CSR 이행과 함께 CSR 보고서도 발표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펑지라이 연구원은 중국 정부의 환경 규제가 강화되고 있다는 점도 강조했다. 그는 “과거 중국 당국의 환경 규제는 그리 엄격하지 않았지만 지난해 새로 마련된 환경법은 벌금 부과 제도, 비정부기구(NGO)의 기업 상대 소송 제도등을 도입하는 등 큰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고 말했다.

중국 정부 당국은 지난 6월 ‘GB/T36000’이라는 CSR국가 표준을 발표했다. 이 표준은 2016년 1월부터 효력이 발생한다. 펑지라이 연구원에 따르면 GB/T36000은 국제표준화기구(ISO)가 2010년 발표한 CSR에 대한 국제 표준 ‘ISO 26000’을 기초로 제정됐다.

펑지라이 연구원은 “GB/T36000은 ISO 26000과 85%가량 비슷한 내용으로 이뤄져 있으며 중국에 적합하지 않은 내용은 뺐다”며 “CSR에 대한 국가 표준이기 때문에 기업들이 의무적으로 지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중국 당국의 CSR 규제 강화에 맞춰 중국 기업들의 CSR에 대한 관심도 역시 한층 높아지고 있다. 눈길을 끄는 것은 기업들의 이익단체인 상공회의소나 협회 등이 앞장서고 있다는 점이다. 특히 섬유업체들을 회원으로 두고 있는 중국방직공업연합회는 가장 강력한 CSR 이니셔티브를 내걸었다고 한다. 세계적으로 섬유 수출량이 많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또 은행, 보험 등 금융 분야 협회들도 CSR에 적극적인 대응을 하고 있다.

중국의 CSR 강화 추세에 따라 기업들의 CSR 관련 정보공개도 점차 중요해지고있다. 물론 외국계 기업들에게도 마찬가지다. 중국사회과학원의 CSR 정보공개 평가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15개 외국계 기업이 0점을 받았다. 특히 나이키는 -2점이라는 굴욕을 맛봤다.

다만 최근 들어서는 외국계 기업의 CSR 활동에 대한 긍정적 여론이 조금씩 조성되고 있다고 한다. 펑지라이 연구원은 외국계 기업의 모범적 CSR 사례로 삼성그룹과 현대자동차그룹을 언급해 눈길을 끌었다.

김윤현 기자 unyon@hmgp.co.kr 사진 차병선 기자 acha@hmgp.co.kr


관련기사



FORTUNE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