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기지국 공용화 사업 활기띤다/이동통신

◎경기 침체 여파 지방사업자 포함 23사 참여그동안 난항을 거듭하던 이동통신 사업자들의 기지국 공용화 작업이 부쩍 활기를 띠고 있다. 기지국 공용화사업을 전담하고 있는 한국전파기지국관리(대표 문영환)는 요즘 내년도 공용기지국 위치를 선정하기 위한 실무작업이 한창이다. 실무진은 지금까지 전국사업자들이 주축으로 진행하던 공용화작업에 지방사업자들이 대거 들어오면서 신바람나게 일하고 있다. 지난해 12월말 설립된 한국전파기지국관리 직원들은 그동안 기지국 공용화 원칙에 합의, 최고경영자들의 서명까지 받아놓고도 막상 일이 진척되지 않아 「하는 일 없이 노는 사람들」이라는 눈총을 받아 왔다. 중복투자 방지, 환경보호, 전자파 장애 최소화 등 기지국 공용화에 대한 명분은 너무나 뚜렷해 아무도 이의를 달지 않는다. 그러나 다른 업체에 비해 조금이라도 먼저 서비스를 시작하려는 경쟁 때문에 구체적인 기지국 공용화에 애를 먹었다. 기지국은 이동통신 서비스업체들에게 필수설비로 투자비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정보통신부가 지난 국정감사에서 내놓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말 각 서비스별로 설치할 기지국은 셀룰러 3천7백10개, PCS 4천3백1개, 무선호출 1천1백4개, 시티폰 4만6천2백34개, TRS(주파수공용통신) 1백3개, 무선데이터 7백38개 등 모두 5만6천1백90개에 달한다. 이는 사업자로서는 막대한 자금 지출로 이어져 원가부담을 안게 되고 나라 전체에 수많은 기지국이 설치돼 환경문제를 유발하는 결과로 이어지고 있다. 특히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 지역에 전체의 59%에 달하는 3만2천6백43개의 기지국에 세워져 도시의 미관을 해치는 등 부작용이 적지않은 실정이다. 기지국 하나를 설치하는데 드는 비용도 만만찮다. 핸드폰의 경우 6억∼11억원, PCS는 2.4억∼3.2억원(임대비 별도), 무선호출 4억∼6억원, 시티폰 7백만∼8백만원에 달한다. 이 계산대로라면 최소비용을 기준으로 해도 올해말까지 핸드폰 사업자들은 2조2천억원, PCS는 1조3백억원, 무선호출은 4천4백억원, 시티폰은 4천4백억원을 쏟아 붓는 셈이다. 이같은 부담은 최근 경기 부진에다 차입금리가 높아지고 있는 상황과 맞물려 업체들에게는 심각한 상황이 되고 있다. 그동안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던 기지국 공용화 사업이 활기를 띠는 것은 이같은 상황에서 나온 것이다. 여기에다 정보통신부가 적극적인 유인책을 쓰고 있는 것도 크게 기여하고 있다. 정통부는 최근 2개 사업자가 기지국을 함께 사용할 경우 전파사용료를 50%, 3개 사업자가 공유할 경우 67%까지 인하해 주고 기지국 검사 수수료도 최고 10%까지 감면하는 등 적극적인 인센티브를 내놓았다. 한국전파기지국관리 문영환사장은 『무선통신 사업자들이 최근의 경기 침체에다 과도한 설비투자에 따른 부담을 느끼면서 기지국 공용화에 대한 필요성을 더욱 절실히 느끼고 있어 공용화 사업 진척이 빨라지고 있다』고 말했다. 한국전파기지국관리는 최근 가입한 10개 지방사업자들을 포함, 모두 23개의 이동통신 사업자로부터 내년에 설치할 기지국 계획지도를 넘겨받아 공용화 기지국 대상을 확정하고 연말부터 본격적인 작업에 나설 계획이다.<백재현 기자>

관련기사



백재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