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기획부동산 비리' 전 지방국세청장 소환조사

법무부의 로스쿨 재학생 검사 임용 방침에 반발해 사상 처음으로 입소식을 거부한 사법연수생들이 3일 단체성명까지 발표하는 등 강경한 의지를 굽히지 않고 있어 파장이 좀처럼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전날 연수원 입소식 참가를 거부한 42기 사법연수생들은 이날 성명서를 발표하고 로스쿨생을 검사로 미리 뽑겠다는 법무부 방침에 강력한 반대의사를 재확인했다. 이들은 연수생 전원총회를 열고 비상대책위원회를 발족한 후 42기 연수생 전원의 이름으로 성명서를 발표했다. 연수생들의 단체 행동이 이어지자 사법연수원 측은 사태 파악에 나서는 한편 앞으로 연수생들이 어떤 돌출행동을 벌일지에 대해 주시하며 대응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특히 연수생들의 성명서 발표는 전날 입소식 거부 이후 생긴 적지 않은 파장에도 불구하고 곧바로 2차 집단 행동에 나선 것이어서 사법연수원 측지 적지 않게 당황해 하는 모습이다. 오용규 사법연수원 기획교수는 “징계에 대해서는 아직 생각하고 있지 않다”면서도 “전반적인 정황을 파악한 후에 대처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앞서 사법연수원은 운영규칙상 품위유지의무 위반 등에 해당하는지 살펴볼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다. 법조계 안팎에서는 사법연수원생들이 집단행동은 자제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별정직 공무원에 속하는 이들의 집단행동이 법적으로 문제가 될 소지가 있다는 이유에서다. 법원의 한 관계자는 “공무원 신문에 대한 깊은 고민 없이 벌인 일”이라며 “어렵게 통과한 고시생의 권리를 생각하는 것도 좋지만 정부 방침에 대처하는 방식이 선을 넘은 것 같다”고 지적했다. 또 이 관계자는 “사법연수생의 집단행동은 사상 초유의 일”이라며 “집안 내부 싸움으로 비춰져 국민의 신뢰를 잃을까 걱정된다”고 안타까움을 전했다. 하지만 로스쿨 제도의 근본적인 문제가 이번 사태로 드러났다며 관련 제도에 대한 재점검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만만치 않다. 오욱환 서울변회 회장은 “로스쿨이 본래 목적에서 많이 벗어났다”며 로스쿨생을 변호사 시험 합격과 상관없이 임용 대상으로 고려하겠다는 법무부의 방침에 반대했다. 그는 이어 “검사 사전 선발제도는 법조일원화를 통해 법조인의 경쟁력을 높이려던 당초 로스쿨 도입 목적을 흔들어 놓는 계획”이라고 꼬집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