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남북, 8일 판문점서 군사 실무회담

월남 北주민 처리가 변수 될<br>軍당국, 언론 차단 신중 모드<br>'귀순' 의사땐 상황 꼬일 수도


남북 군 당국이 8일 군사실무(예비)회담을 개최할 예정인 가운데 월남한 북한 주민 31명의 처리가 남북관계의 변수로 작용할지 주목된다. 김민석 국방부 대변인은 7일 정례브리핑에서 실무(예비)회담을 8일 오전10시 판문점 우리 측 '평화의 집'에서 개최한다고 밝힌 뒤 "북측은 리선권 대좌(대령급) 외 2명이 참석하고 우리 측은 문상균 대령(국방부 북한정책과장) 외 2명이 참석한다"고 밝혔다. 예비회담에서 양측은 고위급 군사회담의 의제와 급, 그리고 구체적인 일정 등을 논의하게 된다. 군은 이번 예비회담이 남북대화 본격 재개 가능성을 점칠 수 있다는 점에서 신중을 기하고 있다. 군은 실제로 지난해 9월 판문점에서 개최된 군사실무회담 때와는 달리 이번에는 언론 취재를 허용하지 않기로 했다. 여기에 지난 5일 북한 주민 31명(남자 11명ㆍ여자 20명)이 어선을 타고 연평도 인근 북방한계선(NLL)을 넘어 남하한 사건의 처리 과정에 이목이 집중된다. 북한 주민이 표류 또는 탈북 등의 이유로 이처럼 대규모로 남하한 것은 이례적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번 사건의 처리를 두고 당국이 고심하고 있다. 물론 모처럼 만에 조성된 대화 모드가 이들 주민 문제로 그르칠 가능성이 높지는 않다는 게 전문가들의 일반적인 관측이지만 만약 이들 중 일부라도 귀순 의사를 표명하게 되면 상황이 복잡하게 꼬일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을 조사하고 있는 정보 당국에 따르면 현재 이들 중 귀순을 희망하는 이는 없는 것으로 알려져 단순 표류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정부 소식통은 "현재 정부 관련 기관에서 월남 경위를 조사하고 있다"며 "배에 탑승한 북한 주민은 가족단위가 아닌 작업반으로 비자발적으로 NLL을 넘어온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어 군의 한 관계자는 "연평도는 북한 해안선으로부터 거리가 12㎞ 정도밖에 안 된다"며 "지금까지 연평도로 북한 주민이 탈북하거나 조류에 떠내려온 경우가 몇 차례 있었다"고 밝혔다. 그럼에도 정보 당국은 이번 북한 주민의 집단 월남이 단순 표류가 아닌 자발적인 탈북일 가능성에 대해서도 신중하게 조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북한 주민의 대규모 월남은 2002년 8월19일 21명이 어선을 타고 서해로 귀순한 데 이어 2009년 10월 1일 11명이 전마선을 타고 동해로 귀순한 바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