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파이낸셜 포커스] 하나금융 지방은행 민영화 참여… 불 붙는 인수전

대형지주사 동참… M&A구도 바뀌나<br>당국 원하던 그림 만들어져<br>매각작업 초반흥행 조짐<br>신한·KB금융 역할론 주목


하나금융지주가 광주은행 인수의사를 공식적으로 밝히면서 우리금융지주 민영화 작업의 신호탄인 지방은행 인수전이 흥행조짐을 보이고 있다. 경남은행 인수를 지상과제로 선정한 BS금융(부산은행), DGB금융(대구은행)과 광주은행 인수를 꿈꾸고 있는 JB금융(전북은행) 등의 '단골손님' 외에 대형금융지주사가 인수전에 뛰어들면서 인수합병(M&A) 시장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유효경쟁의 질을 높이고 있기 때문이다. 금융계에서는 특히 하나금융 등의 인수전 참여가 금융 당국과의 교감 아래 이뤄졌을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인수전 전반의 흐름이 변할지 여부를 주목하고 있다.

◇당국과의 사전교감 있었나=지방은행 매각작업의 난이도는 사실 상당하다. 지방은행 매각작업을 진행할 때 정치논리와 지역색이라는 프리즘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애초 금융당국이 우리금융 민영화 작업의 스케줄을 짤 때 지방은행을 우선순위로 배정한 것도 지방은행 문제를 풀지 않고서는 조기민영화를 완수할 수 없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진성 인수 희망자'가 많은 우리투자증권과는 성격이 많이 다르다.

금융당국은 특히 경남ㆍ광주은행을 해당 지역 상공회의소가 인수하려는 시도에 대해 삐딱한 시선을 보내고 있다. 지역 상공회의소 등을 중심으로 지방은행을 인수하면 자칫 자리 나눠먹기로 흐를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금융 당국의 핵심 관계자도 '제2의 대동은행'이 될 수 있다며 부정적 입장을 취했다. 다른 지방은행이 경남ㆍ광주은행을 인수했을 때 뒤따를 지역민의 반발도 부담이다.

결국 이런 상황에서 대형금융지주사의 등장은 지방은행 매각작업의 초반흥행을 고조시키는 동시에 금융당국의 부담을 덜어주는 매력적인 카드인 셈이다.


금융계의 한 고위관계자는 "우리금융 민영화 작업을 앞두고 금융당국에서 대형금융지주사의 역할론에 대해 계속 신호를 보내고 있는 상황에서 이를 외면할 수는 없을 것"이라며 "각 금융지주사별로 역할론에 부응하기 위한 작업이 전개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하나금융, 광주은행 인수해 호남기반 늘리겠다=하나금융지주가 광주은행 인수의사를 조기에 표명한 것도 이 같은 셈법이 작용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김정태 하나금융 회장은 광주은행 인수 참여 결정의 배경으로 호남 지역 영업기반 확충이라는 명분을 들었는데 이는 금융당국의 시각과 정확히 일치한다. 금융당국의 핵심 관계자는 "신한ㆍ하나은행이 지방 점포망이 약하기 때문에 지방은행 인수에 많은 관심을 갖고 있다"면서 "특히 광주은행의 경우 탄탄해 많은 곳이 인수하고 싶어한다"고 말했다.

실제로 하나금융지주의 호남 지역 영업기반은 다른 권역에 비해 뒤처져 있다. 금융당국에 따르면 6월 말 현재 하나은행이 국내에 개설한 영업점 수는 총 650개로 서울과 경인 지역이 각각 323개, 143개, 충청과 영남이 각각 87개, 72개인 데 반해 호남은 단 20개에 불과하다. 지난해 인수한 외환은행도 호남에 개설한 지점이 14개밖에 되지 않는다.

하나금융지주가 광주은행 인수전 참여로 우리금융 민영화 과정에서의 배역을 선점함에 따라 시장의 관심은 나머지 금융지주사인 신한ㆍKB금융지주의 역할론으로 이동할 것으로 전망된다. 만약 이들 금융지주사가 지방은행 매각과정에 적극 뛰어들게 되면 "지방은행을 흥행 속에서 최고가에 팔겠다"는 금융당국의 소기의 목적도 이룰 수 있게 된다.

다만 광주은행과 달리 경남은행에는 여전히 부산ㆍ대구 등 지역은행과 지역 상공인들만이 인수에 적극적인 관심을 표명한 상황이어서 당국의 고민이 해소되지 않고 있다.

박해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