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파킨슨병 진행 과정 새 이론 제시

이승재 건국대 교수팀 "알파-시뉴클린이 신경세포 죽여"

국내 연구진이 파킨슨병 등 퇴행성 뇌질환의 전개 과정을 설명하는 새로운 이론을 제시했다.


20일 미래창조과학부에 따르면 이승재 건국대 의생명과학과 교수가 주도하는 연구팀은 수년간 자신들을 포함한 여러 연구팀이 발표한 60여편의 논문을 종합해 '알파-시뉴클린(α-synuclein)'에 의한 뇌질환 심화과정을 이론으로 제시했다.

관련기사



뇌의 신경세포에서 분비되는 알파-시뉴클린은 파킨슨병, 루이소체 치매 등 뇌질환 발병에서 특징적으로 발견되는 응집체를 구성하는 단백질이다.

연구팀은 이 단백질이 신경세포에서 분비돼 주변세포에 영향을 준다는 가설을 세우고 연구를 수행해왔다. 연구팀은 알파-시뉴클린 응집체가 주변의 건강한 신경세포로 전이돼 응집체 형성을 유도하고 신경세포들의 사멸을 일으키는 과정을 정리했다. 또 응집된 알파-시뉴클린이 염증을 유발하는 세포를 자극해 신경세포에 이차적으로 더 큰 스트레스를 주는 과정을 설명했다. 이는 알파-시뉴클린이 중요한 치료 표적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 교수는 "기초연구 수준에서 퇴행성 뇌질환의 전개에 관한 새로운 기전을 제시한 것"이라며 "치료법을 개발하려면 기전을 확실히 검증하고 응용연구를 수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리뷰논문은 지난달 28일 신경과학 분야 리뷰논문 학술지인 '네이처 리뷰스 뉴롤로지'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리뷰논문은 해당 분야 전문가가 최신 연구성과와 결과를 총망라해 최근 동향을 정리하고 앞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와 연구방향 등을 제시하는 형태의 논문이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