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가격 어쩌나…" 식음료업계 깊은 한숨

라면·빙과류 등 오픈프라이스 제도 폐지 따라<br> 올리자니 정부 눈치…동결하자니 마진 악화

정부가 시행 1년 만에 빙과류ㆍ아이스크림ㆍ과자ㆍ라면 등 4개 폼목에 대한 오픈프라이스제도를 폐지함에 따라 희망소비자가격을 올릴지 여부를 놓고 식음료업계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가격을 올리자니 공정거래위원회 등 물가 당국의 서슬 퍼런 칼날이 부담되고 1년 전 가격으로 동결하자니 마진 악화가 손금 보듯 뻔하기 때문이다. 11일 식음료업계에 따르면 오픈프라이스제도 폐지로 가격결정권이 유통업체에서 제조업체로 다시 넘어왔지만 가격 인상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원가 압박이 심해 가격을 현실화해야 하는데 정부가 워낙 강경한 입장이라 인상의 '인'자도 꺼내기 어려운 분위기다. 이런 고민은 라면업계가 가장 심각하다. 농심ㆍ삼양식품 등 대표적인 라면기업들의 수익성은 계속 악화되고 있다. 라면의 소비 자체가 줄고 있기도 하지만 이보다는 식자재 가격 상승에도 불구하고 지난 2009년 이후 단 한번도 라면 가격을 올리지 못한 탓이 크다. 더구나 지난해 2월에는 삼양식품이 제품 가격을 평균 6.7%가량 내리는 등 가격 인하를 단행했다. 이 때문에 삼양식품의 올 1ㆍ4분기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반토막이 났고 농심도 30% 줄었다. 라면업계의 한 관계자는 "밀가루ㆍ팜유 등 안 오른 식자재가 있느냐"며 "가격을 올리는 게 당연하지만 이런 말을 공식적으로 꺼내지 못해 답답하다"고 속내를 털어놓았다. 라면업체는 상대적인 피해의식도 더하다. 원가 압박 정도가 비교적 적은 제과ㆍ제빵업체들도 지난해 말과 올해 이런저런 이유로 가격 인상을 줄줄이 단행했지만 라면업체들은 신라면 블랙 파동 등 일련의 사건으로 가격 인상 카드를 주머니에서 꺼내지도 못하고 만지작거리고만 있다. 빙과류ㆍ제과업체들도 정부 눈치를 보기는 마찬가지다. 한 제과업체 관계자는 "유통점에 납품가격을 올린 제품의 경우는 희망소비자가격 역시 인상분이 반영될 것"이라며 "다만 이렇게 되면 오픈프라이스제도 시행 직전의 1년 전 가격과 단순비교해 가격이 올랐다는 비판이 제기될 가능성이 커 고민스럽다"고 전했다. 업계 일각에서는 정부가 가격 인상 책임을 기업에 전가하기 위해 공(가격결정권)을 떠넘긴 것 아니냐는 볼멘소리도 하고 있다. 한편 희망소비자가격 부활 시점은 아직 미정이다. 정부는 현재 기업의 의견을 수렴하고 있는데 업계에서는 기존 제품의 재고가 소진되는 오는 9월 무렵 희망소비자가격이 시행될 것으로 점치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