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수도권 직행좌석 222대 증차

"입석버스 단속 따른 출퇴근 대란 막자"

국토부, 7월 중순부터

7월 중순부터 출퇴근 시간대에 서울과 수도권 노선을 운행하는 직행좌석버스가 지금보다 222대 늘어난다. 입석 버스에 대한 단속과 처벌이 강화됨에 따라 출근 대란이 예상되자 정부가 대책을 세운 것이다.


국토교통부는 10일 수도권 직행좌석버스의 출퇴근 시간 운행 차량을 222대 늘려 입석 관행을 근절하겠다고 밝혔다. 경기도와 인천시는 운수사업자들이 신규 차량을 투입하거나 전세버스를 공동 운행하는 방식으로 각각 95대, 32대씩 늘릴 계획이다. 서울시와 경기도는 비효율적인 노선을 통합ㆍ폐지ㆍ감차한 뒤 입석 승객이 많았던 노선에 집중 투입한다. 서울시는 22대, 경기도는 63대를 입석 승객이 많은 혼잡노선에 배치할 계획이다. 이번에 늘어나는 차량은 평일 출퇴근 시간에만 배치될 예정이며 증차된 버스가 투입되는 시간은 오전6시부터 8시30분, 오후6시30분부터 9시까지다. 다만 주말ㆍ공휴일 등 수요가 많은 노선에 대해서는 지자체에서 별도로 정하기로 했다.

관련기사



국토부 관계자는 "버스 운송사업자들이 다음달 중순까지 차량확보, 전세버스 배차, 교통카드 단말기 설치 등 준비를 마치기로 했다"며 "늘어난 차량을 배치한 후 담당 공무원이 직접 버스에 탑승해 입석 해소 여부와 이용객 불편사항 등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필요시 노선, 증차 대수 조정 등 개선방안을 마련하겠다"고 설명했다.

국토부는 또 다음달 하순부터 입석 버스에 대한 단속과 처벌을 강화할 계획이다. 다음달부터 입석 승객을 태운 채 고속도로나 자동차 전용도로를 운행하면 운송사업자는 사업 일부 정지 또는 과징금, 운전자는 과태료 또는 버스운전자격 취소의 처벌을 받게 된다.


강동효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