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엎친데 덮친 녹색성장펀드

성적 부진한데 정책 후퇴까지… 투자자 환매 나서


3년 간 부진한 모습을 보여 온 녹색성장 펀드가 관련 정책이 후퇴되는 악재까지 겹치며 투자자에게 험난한 앞날을 예고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녹색성장펀드가 장기적으로는 성장 가능성이 크지만 테마성 상품인데다 정책 리스크가 크다며 투자자들에게 애초 예상했던 투자 기간에 따라 대응을 달리하라고 주문했다.

4일 펀드평가사 제로인에 따르면 설정액이 10억원 이상인 녹색성장펀드 10개(운용 기간 3년 이상)의 최근 3년(9월3일 기준) 수익률은 -7.13%를 기록 중이다.


친환경 사업에 참여하는 동시에 성장 가능성이 큰 기업에 투자하는 녹색성장펀드는 2008년부터 2년 간 집중적으로 펀드 시장에 등장했다. 녹색성장펀드 10개 중 7개가 모두 2010년 이전에 생겨난 상품들이다. 이명박 정부가 녹색성장을 강조하면서 녹색성장주들이 주목받았기 때문이다.

관련기사



하지만 정권이 바뀌고 국내 친환경 산업이 한계에 부딪히면서 녹색성장펀드 역시 내리막길을 걸었다. 녹색성장펀드가 테마성 상품이다 보니 국정 기조에 크게 영향을 받고 해외 시장에 비해 국내 시장 규모가 협소해 편입할 만한 종목이 제한적이기 때문이다.

최근 정부가 녹색성장정책을 완화하기로 하면서 녹색성장펀드는 '엎친 데 덮친 격'으로 난관을 맞았다. 정부는 지난 2일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를 완화하고 저탄소협력금제는 6년 간 시행을 미루기로 했다고 밝혔다.

연초 후 녹색성장펀드에 투자했다가 실망감을 느낀 투자자들이 환매에 나서는 가운데 이번 정책 후퇴로 순유출세가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들 10개 펀드에서는 연초 후 136억원이 빠져나갔다. 이들 펀드의 이달 3일 기준 설정액 합계가 763억원에 불과하다는 사실을 감안할 때 적지 않은 자금이 이탈한 셈이다.

투자 고객들의 자산을 관리하는 증권사 프라이빗뱅커(PB)들은 투자자들이 애초 예상했던 투자기간에 따라 대응을 달리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강남의 한 증권사 PB는 "녹색성장펀드는 장기적으로는 유망한 투자 상품일 수도 있으나 국내 시장 규모와 정책 변수 등을 고려할 때 가시적인 성과를 기대하기는 시기상조"라며 "녹색산업이 유망하다고 판단해 장기적으로 투자하는 고객이라면 원금 회복 이후 추가 수익을 올릴 때까지 기다려볼 만하겠지만 단지 테마성 수익을 노리고 들어온 투자자라면 환매에 나서는 게 맞다고 본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대체 상품으로 갈아탈지를 고민하는 투자자라면 내수주나 중국 관련 주식에 투자하는 펀드, 배당주 펀드가 유망할 것"이라고 전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