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PF부실 감축 쉽지 않아… 후분양제 등 실시해야”(KDI)

올해 은행권의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부실채권 규모를 3조6,000억원 감축하겠다는 금융감독원의 목표를 달성하기 쉽지 않을 것이라는 주장이 나왔다. 김 진 서울시정개발연구원 부연구위원과 지규현 한양사이버대학교 조교수는 23일 한국개발연구원(KDI)이 발간한 부동산시장 동향분석 보고서에 기고한 ‘부동산 PF 대출의 현황과 정책대응’에서 “은행권 부실채권은 글로벌 금융위기 전 1조원 이하였지만 작년 3ㆍ4분기 7조7,303억원에 달했다”며 “작년 4ㆍ4분기 6,3천668억원으로 낮아졌지만, 은행이 대손을 적극 상각하고 연합자산관리(UAMCO)에 부실채권을 매각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들은 “이는 일시적인 미봉책에 불과하고 올초 다시 부실채권이 증가하고 있다”며 “금감원의 올해 목표인 부실채권 3조6,000억원 감축은 쉽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금융권의 전체의 PF 부실대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자본구조 건전화, 점진적 후분양제 이행 등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총사업비 대비 자기자본비율이 20~30% 선투입된 뒤 사업을 진행시키고, 이후 타인자본으로 잔여 사업비를 지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밝혔다. 또 “대한주택보증의 분양보증서 발급시점이나 입주자 모집공고 승인시점을 기성률 10~50% 등으로 점진적으로 늦출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현재 100%인 대한주택보증의 보증비율을 계약금과 중도금을 합친 금액의 90%, 80%, 70% 순으로 낮춰 아파트를 분양받은 사람에게도 투자책임을 지워야 한다고 주장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