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버스회사의 위협/오현환 사회부(기자의 눈)

서울버스운송사업조합은 노사협상 직전 15개 업체로부터 받은 사업폐지신청서 사본을 첨부한 경영난 해소대책을 지난 2일 버스정책 실무를 맡고 있는 서울시 대중교통1과에 건의했다.시 대중교통1과 관계자는 이날 조합측에 『건의서 또는 사업폐지 신청서양식에 맞춰 원본으로 시 접수처인 시민과에 접수해 달라』며 조합측 관계자를 돌려보냈다. 조합은 하루 지난 3일 똑같은 건의서를 다시 시민과에 접수시켰다. 이같은 조합측의 행위는 고의가 아니었을 지라도 언론에 마치 면허를 반납하겠다는 위협으로 비춰졌다. 조합은 비슷한 형태로 버스요금 인상 직전인 지난해 6월10일에도 업계의 경영난을 들어 26개 버스업체의 면허증을 모아 시 대중교통1과에 반납했다. 하지만 서울시는 이때도 『사업폐지신청서의 양식에 맞춰 시민과에 제출하라』며 나흘 후에 반려했다. 그러나 그후 한 업체도 반납한 업체는 없었다. 4일 버스운송조합 관계자는 『시민과에 제출한 건의서는 경영난이 가중되고 있는 업계의 현실과 대책을 건의한 것이나 면허반납을 신청한 것은 아니다』고 해명했다. 시는 최근 면허를 반납할 경우 바로 회수해 노선입찰에 부치거나 시가 부분공영제로 직접운영할 것임을 언론을 통해 간접적으로 밝힌 바있다. 시측은 『실제로 반납할 업체는 하나도 없을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조합이 지난 2∼3일 시에 건의한 전면공영화 및 시영버스운영 방안에도 문제는 많다. 전면 공영화는 시가 버스업체의 자산을 모두 인수해 경영하는 것이며 시영버스 운영방안은 버스 수익 관리는 시가 맡고 버스운영은 업계서 맡는 것으로 시는 매월 일정 금액을 버스업체에 제공키로 용역계약을 맺는다는 것이다. 시 관계자는 이에대해 『한마디로 시가 장사를 하라는 것이며 특히 전면 공영화의 경우 그동안의 부실경영에 따른 업체들의 부채까지 시가 떠맡으라는 얘기로 밖에 해석할 수 없다』며 불만을 표시했다. 시민들은 버스요금 인상과 관련, 시를 비난하고 있지만 부실경영·부실회계로 얼룩져 있는 업계에 대해서는 더욱더 곱지않은 눈길을 보내고 있다.

관련기사



오현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