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업체가 감산이라는 마지막 카드를 꺼내든 것은 절박한 경영현실에서의 자구책이지만 그것이 몰고 올 2차, 3차 파장은 결코 가볍게 볼 일이 아니다. 수많은 협력업체와 종사자들은 당장 벼랑 끝으로 내몰리게 되고 가뜩이나 위축된 지역경제에도 찬바람을 몰고 올 수밖에 없다. 일부 중견업체들은 벌써부터 생산인력을 대상으로 1~2개월씩 무급휴직까지 실시한다고 하니 이래저래 어두운 상황이다.
감산바람이 다른 산업으로 확산될 가능성이 높은데다 언제 멈출지 장담할 수 없어 더 걱정이다. 고유가 현상도 그렇지만 긴축기조로 돌아선 중국경제가 국내 산업계에 본격적인 영향을 미치기 시작해 심각성을 더해주고 있다. 국내 석유화학제품 수출의 절반 가까이를 소화해온 중국발 수요가 급격히 위축되면서 해외 판매길이 아예 막혀버렸다는 것이다.
업체들은 차제에 고부가가치 프리미엄 제품의 비중을 확대하고 에너지 비용 절감을 통해 원가경쟁력을 확보하는 등 중장기 전략 마련에 나서야 한다. 석유화학 산업이 세계적으로 공급과잉에 시달리고 있는 점을 감안할 때 과감한 설비교체와 인수합병 등 구조조정을 추진하는 것도 올바른 방향이라고 본다. 아울러 국내에서 생산 가능한 원자재를 자체 조달하고 구매선 다변화, 공동구매 확대 같은 비상대책도 강구해야 한다.
원자재 가격 상승이 지속되면 국내 업체 간 갈등으로 번질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도 대비책이 필요하다. 이미 레미콘 업계와 건설업계는 원자재 상승에 따른 납품단가 조정 문제를 놓고 대립하는 등 산업계 곳곳에서 마찰이 빚어지고 있다. 고유가시대가 몰고 올 후폭풍은 결코 만만치 않을 것이다. 정부와 업계가 합심해 선제적 대응조치에 나서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