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삼성, 대졸 공채 방식 전면 수술] 고비용 논란 없애 … 직군별 '맞춤인재' 뽑는다

'직무적합성평가 → SSAT → 실무면접 → 창의성면접 → 임원면접' 5단계로 확대


5일 발표된 삼성그룹 대졸공채 개편안의 가장 큰 특징은 삼성직무적성검사(SSAT)의 비중을 줄인 대신 그 빈자리를 전공에 대한 이해도나 직무적성 같은 실무능력으로 채웠다는 것이다. 삼성은 이번 조치로 SSAT 운영에 필요한 사회·경제적 비용을 줄이고 직무에 적합한 인재를 확보하는 효과를 얻을 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기존 채용 방식에 익숙해진 취업 준비생들은 에세이나 창의성 면접처럼 새롭게 등장한 전형에 부담을 느낄 것으로 보인다.

◇전공실력·직무경험 쌓아야 유리=현재 삼성그룹의 공채는 'SSAT→실무면접→임원면접' 3단계이지만 내년 하반기부터는 '직무적합성평가→SSAT→실무면접→창의성 면접→임원면접' 5단계로 확대된다.


직무적합성평가는 지원자의 출신대학 같은 직무와 관계없는 스펙(자격조건)은 보지 않고 오로지 직군별로 필요한 직무역량만을 평가한다. 연구개발·기술·소프트웨어 직군은 전공능력으로 평가받는데 얼마나 어려운 전공과목을 이수했는지, 학점은 얼마나 높은지에 따라 당락이 좌우된다. 주로 인문계열에 해당하는 영업·경영지원 직군은 자신이 해당 직무에 얼마나 관심을 가지고 어떤 준비를 해왔는지를 글로 풀어낸 직무에세이로 평가 받는다. 결국 대학 시절 얼마나 열심히 공부하고 경험했는지가 1차 전형 통과를 결정하는 열쇠가 되는 것이다. 사실상 서류전형을 부활하는 것 아니냐는 의견도 나오고 있지만 삼성 측은 "직무 관련성만 보기 때문에 기존 서류전형과는 확실히 다르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공채제도 개편과 관계없이 SSAT는 현행대로 운영되지만 직군별로 중요도는 달라진다. 연구개발·기술직군은 전공능력이 뛰어날수록 많은 가산점을 받을 수 있다. 소프트웨어직군은 SSAT 대신 코딩이나 알고리즘같이 실제 프로그래밍 개발능력을 보는 실기시험 성격의 '소프트웨어 역량테스트'를 거쳐야 한다.

창의성 면접은 지원자와 면접위원 간 토론으로 진행되는데 지원자의 아이디어와 논리력 등을 평가하게 된다. 특히 영업직군의 경우 1박2일에 걸쳐 면접을 진행하는 등 직군별로 면접 방식과 기간을 다양화해 검증의 강도를 높인다.

◇SSAT 고비용·과열 논란 해소=지난 1995년 '열린 채용'을 내걸고 도입된 SSAT는 학점과 공인영어점수 등 일정 자격만 갖추면 누구에게나 응시 기회를 준다. 이 때문에 스펙이 떨어져 면접 기회조차 얻지 못하는 숨은 인재를 등용하는 통로 역할을 톡톡히 해왔다. 그러나 응시자가 연간 20만명 수준까지 급증해 많은 사회·경제적 비용을 유발했고 SSAT 수험시장까지 형성되며 과열 논란을 빚었다. 삼성은 올 초 △서류전형 부활 △대학총장추천제 등의 개선안을 내놓았지만 '대학 줄 세우기'라는 비판 속에 백지화했고 이날 다시 대안을 내놓은 것이다. 개편안에 따라 출신대학은 배제한 채 직무역량을 따져 SSAT 응시 규모를 조정할 수 있는 만큼 삼성그룹은 오랜 숙제를 해결하게 됐다.

다만 취업준비생들 사이에서는 이번 개편안으로 더 큰 부담을 짊어졌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직무적합성평가를 통과하기 위해 인턴이나 사회경험 같은 대외활동 스펙을 더 쌓아야 하고 SSAT 준비도 전과 다름없이 해야 하기 때문이다. 인문계열 전공의 한 대학생은 "새롭고 다양한 경험을 쌓는 게 더 어렵다"며 "어떻게든 내년 상반기 안에 취업해야겠다는 생각뿐"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