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한국인 맞춤형 치매 조기진단 '뇌지도' 구축

한국인 특성에 맞춰 치매 발병을 예측하거나 조기에 진단할 수 있는 뇌지도가 2017년까지 구축된다.

국가 차원의 치매 정책을 사후관리에서 사전예방으로 전환해 치매에 따른 사회ㆍ경제적 비용을 점감하기 위한 조치다.


미래창조과학부는 13일 '생명공학종합정책심의회'를 열고 '제2차 뇌연구촉진 2단계 기본계획'을 확정ㆍ발표했다.

방안에 따르면 앞으로 5년간 총 6,245억원을 투입해 한국인 표준 치매 예측 뇌지도를 2017년까지 구축한다. 뇌지도는 조기진단 서비스 시범사업에 사용된다.


해당 사업은 뇌영상(MRIㆍPET)을 활용한 '한국인 표준 치매 예측 뇌지도 구축(60~80대)'과 체액(혈액ㆍ유전체) 기반 '치매 조기진단 바이오마커(질병의 발생ㆍ진행과 연관되는 중요한 생체지표)'를 발굴하는 사업으로 나뉘어 추진되며 당장 올해부터 관련 연구가 시작된다.

관련기사



생명공학종합정책심의회에서는 또 2013년도 뇌연구촉진 시행계획을 확정했다. 올해는 지난해 대비 29% 증가된 총 864억1,900만원을 투입해 뇌질환ㆍ뇌공학 등 4대 분야별 핵심 원천기술 선점과 융합중개 연구 지원을 강화한다.




권대경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