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은행권 과당경쟁 막는다

금감원 "영업점 외형성장 항목 배점 비중 조정"<br>은행들 하반기 무리한 대출 등 자제 여부 주목


금융당국이 은행권의 과도한 몸집 불리기 경쟁 열기를 식히기 위해 영업점 '성적표'를 손질한다. 8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최근 국민ㆍ우리ㆍ신한ㆍ하나ㆍ기업은행 및 농협 은행부문 등 6개 은행의 수석ㆍ전략담당 부행장 등을 불러 영업점에 대한 일종의 성적표인 경영성과평가(KPI) 기준에서 과당경쟁을 유발할 수 있는 사항을 조정하라고 요청했다. 금감원의 이 같은 요청은 은행권이 규모의 경쟁에만 매몰되면 무리한 대출 판매로 가계부채 문제를 심화시키고 자칫 은행의 경영건전성까지 해칠 수 있다는 차원에서 이뤄진 것으로 풀이된다. 이에 따라 주요 은행들은 하반기부터 KPI 중 외형성장과 관련한 항목의 배점 비중을 줄이는 등 보완책을 검토하고 있다. 예금 등 수신과 대출ㆍ펀드ㆍ방카슈랑스ㆍ카드ㆍ퇴직연금 등 은행 상품 전반에 대해 해당 기준이 적용될 것으로 전망된다. 국민은행은 최근 실무 전담반을 꾸려서 KPI배점에서 각각 120점과 80점인 대출, 수신의 비중을 각각 10점 정도씩 줄이는 쪽으로 개편안을 연구 중이다. 국민은행은 최근 총수신 잔액이 200조원을 돌파하는 등 자산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는 상황이었다. 우리은행은 대출자산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주택담보대출 등에 대한 판매 배점 비중을 일부 조정하는 등의 방안을 염두에 두고 있다. 단순 상품 판매실적보다는 수익성에 대한 배점을 상대적으로 높이겠다는 것이다. 신한은행은 상품 판매실적에 따른 배점을 일부 삭감하되 그 비중은 영업점에 따라 달리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다. 다른 은행들도 이르면 이달 말까지 KPI 배점 비중 조정 등에 나서겠다는 입장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