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관절등 9개질환 특화 전문병원 지정

보건복지부는 중소 병원가운데 특정 분야ㆍ과목 전문병원을 11월부터 지정·운영한다. 복지부는 대학병원으로의 환자 쏠림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중소 병원급 의료기관 중 99곳을 특정 질환, 진료 과목에 특화한 전문병원으로 지정한다고 20일 발표했다. 지정된 병원은 9개 질환별로 ▦관절 10곳 ▦뇌혈관 1곳 ▦대장항문 4곳 ▦수지접합 6곳 ▦심장 1곳 ▦알코올 6곳 △유방 1곳 ▦척추 17곳 ▦화상 3곳 등이다. 진료과목별로는 ▦산부인과 13곳 ▦소아청소년과 2곳 ▦신경과 1곳 ▦신경외과 1곳 ▦안과 8곳 ▦외과 2곳 ▦이비인후과 2곳 ▦재활의학과 10곳 ▦정형외과 4곳 등이다. 한방분야는 질환별로 ▦한방중풍 5곳, ▦한방척추 2곳이 지정됐다. 지역별 분포를 살펴보면 서울 지역이 27개로 가장 많고 경기 15개, 부산 12개, 대구 11개, 인천과 광주 각 7개 등이다. 이번에 지정된 99개 전문병원의 명단은 복지부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전문병원으로 지정된 기관은 11월부터 3년간 ‘보건복지부 지정 전문병원’명칭을 사용할 수 있으며 비 지정기관은 간판 제작이나 병원을 홍보할 때 ‘전문’이란 명칭을 사용할 수 없다. 전문병원은 종전의 건강보험 종별 가산율이 그대로 적용돼 전문병원 이용에 따른 환자의 추가비용 부담은 없다. 복지부는 전문병원을 수련병원의 자병원으로 지정할 경우 우대하는 인센티브도 함께 검토할 예정이다. 복지부 관계자는 “전문병원 지정을 통해 대학병원으로 환자 쏠림 현상을 완화하고 양질의 의료 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을 높일 수 있게 됐다”며 “중소병원의 대외경쟁력도 높아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