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수입물가 8개월째 내려…13년만에 최장 기간 하락

소비자물가에 시차를 두고 영향을 주는 수입물가가 8개월 연속 하락세를 이었다.

수입물가가 8개월 연속 떨어진 것은 2001년 이후 약 13년 만에 처음이다.


한국은행이 12일 발표한 ‘10월 수출입물가지수’에 따르면 지난달 원화 기준 수입물가 지수(2010년 100 기준)는 92.22로 한 달 전보다 0.9% 하락했다.

수입물가는 올해 3∼6월에는 원·달러 환율 하락(원화가치 상승) 때문에 떨어졌으며 7월부터는 국제유가가 떨어지면서 하락세가 지속됐다.

수입물가가 8개월 연속으로 하락한 것은 2001년 5∼12월 이후 처음이다. 당시에는 수요 부진으로 세계경제가 침체하면서 국제유가가 큰 폭으로 떨어져 국내 수입물가를 끌어내렸다.

최근 국제유가 하락은 미국의 셰일가스 생산, 석유수출국기구(OPEC)의 증산 등공급측 요인에 수요 부진 영향까지 점차 강해진 데 따른 것이다. 주유비가 줄어드는 것을 기분 좋게만 바라볼 수 없는 이유다.

지난달에는 유럽·중국의 경기 둔화 우려가 커지면서 니켈(-12.8%), 알루미늄(-2.7%), 구리(-1.9%) 등 비철금속 가격도 줄줄이 떨어졌다. 이들 원자재 가격은 세계경기 변동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지난달 국제유가는 배럴당 86.82달러(두바이유 기준)로 한 달 새 10.2%나 떨어졌다.

관련기사



국제유가 하락으로 석유·석탄제품 수입가가 7.7% 떨어졌고 광산품도 4.4% 내렸다.

품목별로는 나프타(-12.4%), 경유(-9.9%), 원유(-7.8%), 제트유(-7.3%) 등의 수입가 하락폭이 컸다.

달러화 등 계약통화(수출입 때 결제수단으로 사용하는 통화)를 기준으로 한 수입물가도 전월보다 3.2% 떨어졌다.

지난달 원화 기준 수출물가는 원·달러 환율이 상승한 영향으로 전월보다 0.7% 올랐다. 한 달만의 상승 전환이다.

석탄·석유제품(-7.2%) 수출가는 내렸지만, 섬유·가죽제품(3.2%), 반도체·전자표시장치(2.7%), 농림수산품(0.4%) 등은 올랐다.

품목별로는 규소강판(4.7%), 신선어패류(4.4%), 인조섬유편조물(3.8%), 소형승용차(3.1%) 등의 수출가 오름폭이 큰 편이었다. 부타디엔(-19.3%), 나프타(-12.5%), 경유(-7.7%) 등은 하락했다.

그러나 1년 전과 비교한 지난달 수출물가는 4.1% 낮은 수준이다.

계약통화 기준 수출물가도 전월보다 1.6% 하락했다.

/디지털미디어부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