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돼지 췌장세포 이식, 당뇨 치료 실험 성공

[부제복]서울대 의대 박성회 교수팀, 이종이식 실험 성공 국내 연구진이 당뇨증상이 있는 원숭이에 돼지 췌장 세포를 이식해 별다른 이식거부반응없이 당뇨병을 치료하는 실험에 성공해 주목된다. 서울대 의대 박성회 교수 연구팀은 돼지 췌도를 이식한 당뇨병 원숭이가 거부반응 없이 6개월 이상 건강하게 생존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31일 밝혔다. 연구팀이 췌도이식 4개월 후 면역억제제 등 모든 약제의 투입을 중단했음에도 이식 이전 450 이상이던 원숭이의 혈당은 부작용 없이 6개월 이상 정상치인 평균 83을 유지했다. 박 교수팀은 “면역 억제제 투여 중단 이후에도 이식 거부반응이 나타나지 않는 현상은 동종 간의 이식에서도 매우 드문 일로 이종이식에서는 세계 최초의 결과”라고 의의를 밝혔다. 췌도(랑게르한스섬)는 인간의 췌장 가운데 섬 모양으로 존재하는 내분비선 세포의 집합체로, 인슐린 등의 호르몬을 분비해 체내 혈당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돼지 췌도이식은 현재 의학계에서 소아 및 성인 당뇨병 환자에게 유일한 치료법으로 여겨지고 있다. 돼지 췌도를 이식한 원숭이는 현재 최장 7개월 이상 살아있고 면역억제제 중단 이후에도 혈청학적ㆍ면역학적 지표가 정상 범위에 있다고 연구팀은 전했다. 연구팀은 이 원숭이가 앞으로 1~2년 또는 평생 부작용 없이 정상 당뇨 수치를 유지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연구팀은 "이번 성과는 사람에게 돼지 췌도를 이식함으로써 당뇨병을 완치하는 일도 충분히 가능함을 시사한다"며 "실험에 사용된 돼지는 다른 연구팀에서 임상시험을 추진하고 있는 '형질전환 돼지'가 아니라 조작이 전혀 이뤄지지 않은 정상 무균돼지라는 점에서 큰 차별점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같은 성과가 나온 데에는 박 교수팀이 개발한 새로운 면역조절항체가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현재 서울대는 ㈜다이노나와 함께 이 항체를 치료제로 개발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이번 연구 성과는 의학 및 면역학 분야의 저명한 학술지 실험의학저널(Journal of Experimental Medicine) 최신호에 게재됐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