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대출사기 입수 공문으로 본 IT시대의 그늘] 2급 비밀문서 인터넷 둥둥

거래기업 주소·고객번호 등 A4 수십장 분량 고스란히 노출

서울경제신문이 입수한 KT ENS의 별도 공문의 별첨문서 상단(위)에 KT네트웍스(현 KT ENS)의 로고가 선명하다. 이 문서 아래(아래)에는 기업비밀 Ⅱ급이라는 글자가 보인다.

KT 측은 서울경제신문이 입수한 문서와 관련해 "경찰과 금융감독원 조사에서 서류 위조 부분을 언급하고 있는 만큼 관련 문서는 위조된 것으로 보인다"며 "ENS의 내부결재 문서 확인 결과 이번 금융사기 사건 관련 문서는 존재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KT 측은 이어 "김모 부장 명의로 결재된 모든 문서를 확인한 결과 모바일 프린터 관련 문서 및 휴대폰 액세서리 관련 문서만 존재했다"며 "ENS가 휴대폰 영업 자체를 지난 2012년까지만 진행하고 2013년부터는 하지 않았으며 김모 부장은 2013년 당시 영업이 아닌 업무성과개선 관련 교육 중이어서 영업기안을 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KT ENS의 내부통제 문제를 두고서는 문제가 많다는 지적이 나온다. 당장 본지가 입수한 KT ENS의 'SAP 고객정보 기재사항 현행화 추진' 문서는 인터넷 사이트에 돌아다닌다. 해당 문서에는 첨부파일도 붙어 있다. 첨부파일을 열어보면 KT네트웍스(현 KT ENS) 로고가 위에 있다. 내용을 보면 고객정보 기재사항 중 표본데이터 792건을 검증한 결과 97% 이상의 기재사항 요구가 확인됐다는 게 뼈대다.

관련기사



문제는 이 문서가 기업비밀 2급이라는 점이다. 문서 우측 하단에 '기업비밀 Ⅱ급'이라는 내용이 명시돼 있다. 또 다른 첨부문서에는 KT ENS의 거래기업 명단이 모조리 첨부돼 있다. 사업영역별로 기업 이름과 주소, 고객번호가 들어 있다. 출력물만 A4 수십 장에 달하는 분량이다. 거래기업 목록이 모조리 붙어 있는 만큼 사업기밀이라고 충분히 볼 수 있다. IT업계의 한 관계자는 "외부에 공개되면 안 되는 내용으로 보이는데 외부에서 일을 하기 위해 잠시 열어뒀거나 한 것으로 보인다"며 "이런 식으로 업무를 하면 안 된다"고 설명했다. 3,000억원 사기대출 관련 문서가 100% 허위라고 해도 KT ENS의 내부통제에 문제가 있음을 보여주는 부분이다.

특히 이는 KT그룹 전체적으로도 관계가 있다. 황창규 회장 취임 이후 비서실 재무담당을 하고 있는 차재연 상무의 경우 2012년 3월부터 KT ENS 감사를 보고 있다. 내부 법인인감이 사용되고 위조 추정 문서가 돌아다니는 상황에서 감사의 책임론이 불거질 수 있다. 비서실 재무담당은 황 회장의 오른팔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KT의 부담도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