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과 수도권은 일자리가 없어 구직난이 심각하지만, 전남과 충남지역은 일할 사람을 찾지 못하는 구인난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7일 한국고용정보원이 발간한 ‘지역별 노동수요와 인력수급 미스매치 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취업정보사이트 워크넷에 올라온 구인구직 정보를 분석한 결과 실업자 100명 중 62.8명은 인력수급의 불일치 때문에 일자리를 찾는데 실패했다. 이 중 35.7명은 일자리 자체가 없어서 취업을 못 하는 ‘노동수요 부족’으로, 20명은 기업이 원하는 기술 숙련도가 너무 낮거나 높아 취업이 힘든 ‘구조적 미스매치’가 원인이 됐다. 7.1명은 정보가 부족하거나 임금 등 조건이 안 맞는 ‘마찰적 미스매치’로 취업에 어려움을 겪었다.
이러한 요인들은 지역별로 편차가 컸다. 서울과 경기, 인천, 대전에서는 구직자가 구인보다 많거나 신규 채용 여력이 없는 노동수요 부족이 일자리 문제의 가장 큰 원인이었다. 실업자 100명 중 서울에서는 절반(49.6명)가량이, 대전에서도 62.2명이 일자리 자체가 적은 노동수요 부족 탓에 직장을 구하지 못했다.
반면 전남은 59.2명이, 충남은 55.7명이 취업이 가능했다. 다만 전남에서 38.1%는 ‘기업이 원하는 기술 숙련도가 너무 낮거나 높아서’ 일자리를 찾지 못했다. 충북(21.9명)과 충남(18.9명)도 전남과 같은 구조적 미스매치에 의한 실업 비중이 컸다.
광주와 울산, 경남 지역은 정보가 없거나 조건이 안 맞아서 겪는 마찰적 미스매치에 의한 실업의 비중이 다른 원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높게 나왔다.
이에 따라 지역별 고용사정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각 지역의 실정에 맞는 맞춤형 일자리 정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박진희 고용정보원 고용정보분석센터장은 “지역별로 충원이 필요한 일자리에 적합한 구직자를 연결해주지 못하면 구직난 속 구인난은 계속될 것”이라며 “노동시장의 인력수급 미스매치를 해결하는 것은 지역 경제 경쟁력 제고의 필수 과제”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