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치일반

F-22 랩터 또 발 묶였다

조종사 비행중 산소부족 호소에 한달만에 다시 ‘지상계류’


F-22 랩터 또 발 묶였다 조종사 비행중 산소부족 호소에 한달만에 다시 ‘지상계류’ 미국 공군의 F-22 랩터(Raptor) 전투기에 또다시 ‘비행 중단’ 조처가 내려졌다. 미 공군은 24일(현지시간) F-22 전투기의 조종사들이 조종석에서 산소 부족 증상을 호소함에 따라 올들어 두 번째로 수십대의 F-22 전투기에 대해 ‘지상계류’ 조치를 내렸다. 버지니아주 랭리 기지와 알래스카 주 엘멘도르프 기지의 공군 지휘관들은 안전 예방조치로 세계에서 가장 비싸고 우수한 성능을 자랑하는 F-22 전투기에 대한 ‘비행 일시정지’를 명령했다고 미 공군 대변인이 밝혔다. 이 같은 결정은 지난주 랭리 기지의 한 F-22 전투기 조종사가 야간비행 중 ‘저산소증과 유사한 증세’를 호소한 직후 이뤄졌다. 이런 결정은 미 공군이 지난 5월부터 9월 중순까지 모든 F-22 전투기에 대해 ‘지상계류’ 조치를 취한지 한 달여 만에 내려진 것이다. 미 공군은 당시 F-22 전투기의 산소 공급과 관련한 모든 문제점을 점검하기 위해 모든 F-22 전투기에 대한 비행중단이라는 이례적인 조처를 한 바 있다. 전문가들은 정밀 조사와 안전조치에도 문제의 정확한 원인이 밝혀지지 않고 있다고 말하고 있다. 지난해 11월 발생했던 F-22 전투기 추락사고를 조사하던 미 공군은 F-22에 장착된 ‘내장형 산소발생장치’(OBOGS)의 오작동 가능성이 제기되자 지난 5월부터 9월 중순까지 160여대의 F-22 전투기에 대해 지상에 계류하도록 명령한 것으로 알려졌다. 랭리 기지에는 약 30대의 F-22 전투기가 배치돼 있으며, 지난주에는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이 기지를 방문하기도 했다. F-22 전투기는 1대당 가격이 1억5,000만달러에 달하며, 강력한 스텔스 기능을 바탕으로 공중전을 수행하도록 설계됐다. 이 전투기는 미 공군이 ‘세계의 어떤 전투기와 공중전을 벌여도 제공권을 장악할 수 있는 전투기를 만들라’라고 요구하면서 1997년 개발됐다. 적의 레이더에 포착되지 않는 스텔스 기능과 최첨단 장비를 갖춰 5세대 전투기로 분류된다. 특히 F-22 전투기는 최첨단 특수레이더인 APG-77 AESA를 장착해 최대 250㎞ 떨어진 곳에 있는 직경 1m 물체를 식별해낼 수 있다. F-22 전투기는 현재 랭리 및 엘멘도르프 기지와 하와이 히컴기지, 괌 앤더슨 기지, 일본 가데나 기지 등에 배치돼 있다. 유사시 한반도에도 투입되는 전력이다. /온라인뉴스부 [국방안보 & 무기] 앗! 내가 몰랐던 정보들 한가득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