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라이프

경남 사천, 쫄깃쫄깃한 봄 도다리 … 낙조가 아름다운 남녘

잃었던 입맛 되찾아주는 도다리 회·쑥국

노산공원 오르면 한려수도 비경 한눈에

오색 찬란한 삼천포대교 야경도 볼거리

삼천포의 명물, 봄도다리.

삼천포항 노산공원 해안데크에서 바라본 바다 풍경. 솟아오른 붉은 등대가 평화로워 보인다.

겨울도 막바지로 치닫는 요즘 남녘의 바람은 찬 기운이 사라졌다. 바람은 봄보다 한발 앞서 계절의 변화를 전하는 전령이기 때문이다.

해마다 이맘때면 사천의 삼천포항에는 활기가 넘친다. 삼천포항을 중심으로 형성된 활어 전문 상설전통시장 때문이다. 삼천포항은 40년 전만 해도 인근 어촌과 도서지방에서 밤새 잡은 생선을 사고팔던 포구 물양장이었다. 싱싱한 생선이 들어오고 진주·남해 등지에서 상인들이 모여들면서 자연스레 시장이 형성됐고 1978년 정식으로 시장이 개장했다. 역사가 오래된 까닭에 항구를 중심으로 활어와 회를 판매하고 농산물·건어물·조개류 등을 판매하는 상점과 노점이 즐비하다. 이곳은 여느 전통시장과 다르지 않지만 풍성한 어류가 매대를 가득 메우고 있어 바닷가에 여행 온 기분을 만끽할 수 있다.


발걸음을 옮겨 삼천포 구항과 신항 사이에 위치한 노산공원으로 향하면 바다를 향해 돌출한 언덕에 조성된 노산공원과 그 앞에 펼쳐진 한려수도의 전망이 한눈에 들어온다. 공원 안에는 삼천포 출신의 고(故) 박재삼 시인의 문학관이 조성돼 있다. 광복과 6·25전쟁을 거치며 우리 민족이 경험해야 했던 경제적 빈곤을 자신의 체험을 중심으로 이해하기 쉽고 가슴 깊이 새길 수 있는 시를 지은 시인의 시집과 수필집을 문학관에서 만날 수 있다.

노산공원에서 내려오면 삼천포에서 공항이 있는 사천읍까지 실안해안도로를 따라 드라이브를 할 수 있다. 실안해안도로로 가는 길 중간에 대방진굴항을 지나게 되는데 대방진굴항을 그냥 지나치기 어려운 것은 방파제 끝에 서 있는 하얀 등대 때문이다. 파란 하늘과 바다를 배경으로 한 하얀 등대는 보는 것만으로도 낭만적이다. 대방진굴항은 역사적으로도 유서가 깊다. '진'이란 군사시설을 일컫는 것으로 대방진은 고려시대 말에 남해안에서 극성을 부리던 왜구를 막기 위해 설치한 군항이다. 임진왜란 때에는 이순신 장군이 수군기지로 이용하기도 한 곳이다. 현재의 굴항은 조선 순조 때 진주병마절도사가 진주목 관하 70여개 면의 백성을 동원해 돌로 둑을 쌓아 1820년께 완공한 것이다.

대방진굴항에서 실안해안도로는 지척이다. 해안도로가 시작되는 삼천포대교 아래 대교공원에는 '일몰이 아름다운 거리'라는 이정표가 있고 공원 주차장에는 커다란 거북선이 있다. 임진왜란 당시 이순신 장군이 최초로 거북선을 출전시킨 곳이 사천해전이기 때문이다. 이 사천해전의 승전을 주제로 60㎞의 바닷길을 조성한 것이 실안해안도로다.

실안해안도로는 바다와 어우러지는 길의 운치도 뛰어나지만 무엇보다 볼거리가 많은 길이기도 하다. 제일 먼저 눈을 사로잡는 것은 삼천포대교다. 미국 샌프란시스코의 금문교를 연상케 하는 웅장한 자태가 매력적인 다리는 8년이라는 시공기간을 거쳐 2003년 4월에 제 모습을 드러냈다. 낮에는 범선의 돛대처럼 바다 위를 가로지른 풍경이 멋있고 밤에는 오색의 조명이 반짝이며 아름다움을 뽐낸다.

삼천포대교를 뒤로 하고 길을 따라 달리면 이내 바다 한가운데 나무 말뚝을 박아 만든 죽방렴이 보인다. 죽방렴은 조류를 이용해 물고기를 잡는 방식으로 말뚝을 조류가 흐르는 방향에 맞춰 V자로 벌려두고 끝에 원통형 대발을 설치한다. 거센 물살을 이기지 못하고 힘을 잃은 물고기가 대발에 모이게 되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우리나라에서 바다 물살이 가장 센 곳은 해남과 진도 사이의 울돌목이고 그 다음으로 물살이 센 곳이 삼천포 대교가 있는 사천 앞바다이다. 때문에 이곳에서 죽방렴 어업이 성했던 것이다. 죽방렴이 가장 아름다울 때는 해 질 무렵이다. 세상을 붉게 물들이며 떨어지는 해와 바다, 그리고 죽방렴이 어우러져 그림 같은 낙조를 만들어낸다. 실안낙조는 사천8경의 하나로 빼놓아서는 안 되는 풍경이다.

해안도로가 품고 있는 마지막 볼거리는 선진리성이다. 선진리성은 바다와 가까운 지리적 이점 때문에 고려시대부터 조창이 설치돼 주변에 쌓은 토성이다. 하지만 임진왜란 때 사천 지역을 장악한 왜군이 조창 터에 돌로 성을 쌓으면서 왜성으로 많이 알려져 있다. 선진리성의 역사적 가치는 이순신 장군으로 인해 더욱 빛난다. 이순신 장군은 선진 앞바다에서 거북선을 등장시키며 왜선 13척을 침몰시키는 승리를 거뒀다. 역사는 이를 '사천해전'이라 적고 있다. 선진리성은 공원으로 정비돼 돌로 쌓은 성의 형태가 잘 남아 있고 안에 이충무공 사천해전승첩비가 세워져 있다. 봄에 사천을 방문한다면 빼놓아서는 안 될 것이 도다리쑥국이다. 제주도 근처에서 겨울 산란기를 지낸 도다리가 매년 3월께 삼천포 앞바다로 올라오기 때문이다. '봄 도다리, 여름 민어, 가을 전어, 겨울 광어'라는 말이 있듯 봄에는 뭇 생선 중에서 도다리가 제일 맛이 좋다.

삼천포어시장에서는 이맘때면 상점·좌판 할 것 없이 도다리가 주인공이다. 도다리는 뼈째 썰어 세꼬시로 먹기도 한다. 제철의 가격은 1㎏에 3만5,000~4만원 선. 도다리는 어른 손바닥만한 크기(15~20㎝ 내외)가 맛이 제일 좋다. 큰 것은 보기에는 좋아도 뼈가 단단해서 세꼬시용으로 적합하지 않고 너무 작으면 살이 별로 없다. 산란기를 끝낸 도다리는 살이 꽉 차서 차지고 쫄깃하다. 하얀 살과 함께 씹히는 뼈는 씹을수록 고소하다. 도다리는 광어와 비슷해서 자칫 혼동하기 쉽다. 구별법은 '좌광우도'라는 말처럼 도다리는 눈이 오른쪽에 몰려 있다. 또 광어가 입이 크고 이빨이 있는 데 반해 도다리는 입이 작고 이빨이 없다.

봄의 향기를 오감으로 만끽하고 싶다면 도다리쑥국이 제격이다. 도다리쑥국은 전라도의 홍어 애탕에 비견되는 경상남도의 대표적 봄철 음식이다. 구수한 된장을 푼 뒤 파릇파릇한 쑥과 도다리를 넣고 끓여낸 국은 잃었던 입맛을 되찾기에 부족함이 없다.

여행수첩

◇여행코스

■당일 : 노산공원(박재삼문학관)→삼천포항→대방진굴항→창선·삼천포대교→실안해안도로

■1박2일 :

첫째날

남일대 코끼리바위→진널전망대→노산공원(박재삼문학관)→삼천포항→대방진굴항→창선·삼천포대교→실안해안도로 낙조

둘째날

실안해안도로→사천대교→선진리성→항공우주박물관→다솔사→비토섬

◇문의전화


사천시청 문화관광과 055)831-2727

관련기사



삼천포대교 공원안내소 055)835-1023

박재삼문학관 055)832-4953

항공우주박물관 055)851-6565

◇가는 길

대전통영간고속도로 진주JC→남해고속도로 사천IC→3번 국도→사천시청→삼천포항

◇숙박정보

사천관광호텔 055)855-0005

삼천포해상관광호텔 055)832-3004

엘리너스호텔 055)832-9800

양지모던모텔 055)852-1885

젠모텔 055)832-7723

폴라리스모텔 055)835-7468

◇맛집

삼천포한정식, 회정식, 사천시 선구동, 055)832-7345

자연산횟집, 도다리쑥국, 사천시 서동, 055)832-2228

해안횟집, 도다리쑥국, 사천시 서동, 055)832-2700

재건냉면, 냉면, 사천읍 수석리, 055)852-2132

◇주변 볼거리

다솔사, 남일대, 세종·단종태실지, 대곡숲, 비토섬

@naver.com

사진제공=한국관광공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