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초ㆍ중ㆍ고 학생 105만명 정신건강 ‘빨간불’

교과부 전수조사 실시, 22만명은 ‘심각’…남자 중학생 가장 안좋아

우리나라 초ㆍ중ㆍ고등학교 학생 중 20.8%에 해당하는 128만명이 정신건강에 문제가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교육과학기술부는 7일 지난해 전체 초ㆍ중ㆍ고등학교 학생 668만 2,320명 중 97.0%에 달하는 648만 2,474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12년 학생정서ㆍ행동 특성검사’ 결과를 발표했다.

검사결과 지속적인 상담ㆍ관리가 필요한 관심군 학생은 16.3%인 105만 4,447명으로 집계됐다. 1차 검사에서 관심군으로 파악된 학생 중 2차 검사에서 불안ㆍ우울ㆍADHD(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등 문제가 심해 심층상담 같은 집중관리가 필요한 주의군으로 분류된 학생은 전체의 4.5%인 22만 3,989명이었다. 이를 합치면 전체의 20.8%인 127만 8,436명이 정신건강에 적신호가 켜져 있는 셈이다.


학교급별로는 중학생이 정서적으로 취약했다. 관심군으로 분류된 중학생은 초ㆍ중ㆍ고 평균보다 높은 18.3%로 33만 2,008명에 달했다. 주의군도 7.1%로 9만 6,077명이었다.

관련기사



초등학생은 관심군이 16.6%로 46만 6,560명이었고, 주의군은 2.4%인 5만 898명이었다. 고교생은13.8%인 25만5,879명이 관심군으로 분류됐고 5.4%인 7만 7,014명이 주의군이었다.

성별로는 초등학교는 남학생이 관심군 비율이 높지만 중학교는 남녀가 비슷했고, 고교는 여학생 관심군 비율이 높았다.

교과부는 올해부터 검사 대상을 초 1ㆍ4학년과 중 1학년, 고 1학년으로 변경, 학생 개인이 3년마다 검사를 받게 할 방침이다. 절차도 간소화해 학생들이 ’나이스(교육행정정보시스템)’에 접속해 검사에 응하고, 학교는 관심군ㆍ주의군 분류를 위해 두 번 검사하는 대신 한 번 검사로 관심군만 파악해 바로 Wee센터 등 전문기관에 보내도록 할 방침이다.

정부가 초ㆍ중ㆍ고생 정서ㆍ행동특성을 전수 검사한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2010년과 2011년에는 희망학교를 대상으로 시범 시행한 바 있다.


권대경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