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동산일반

한남5구역 "공공관리제 수용" 백기

추진위원장 검찰 기소로 원점서 재추진…사업 일정 늦어질듯

서울 한남뉴타운5구역의 추진위원장이 검찰에 기소되면서 사업일정이 늦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한남뉴타운 전경.


'공공관리제 때문에…' 공공관리제를 무시하고 재정비사업을 추진해왔던 한남뉴타운5구역이 결국 '백기'를 들었다. 공공관리제는 각 구청이 재개발ㆍ재건축에 개입해 사업을 투명하게 관리하는 것으로 지난해 서울시가 도입한 제도다. 3일 용산구 등에 따르면 한남5구역의 추진위원장과 감사 및 정비업체로 선정됐던 삼우ENC는 최근 검찰에 기소됐다. 지난해 9월 용산구가 5구역 추진위를 고발한 지 5개월여 만에 정식 기소가 이뤄진 것이다. 한남5구역은 최초 추진위 구성 단계까지는 공공관리제를 적용받았다. 하지만 이후 정비업체 선정 과정에서 자체 정관에 따라 후보업체를 선정하고 이후 주민총회를 열었다. 용산구의 한 관계자는 "공공관리제에 따르면 정비업체 선정 과정도 구청의 감독을 받아야 한다"며 "총회를 열지 말라고 수차례 경고했지만 이에 불응해 검찰에 고발할 수밖에 없었다"고 설명했다. 검찰이 정식 기소를 해오면서 한남5구역 추진위 발등에도 불이 떨어졌다. 아직 재판은 받지 않았지만 법을 어겼다는 해석이 나온 셈이기 때문이다. 진화에 나선 해당 추진위는 용산구에 새로운 사업계획서를 보냈다. 기존 정비업체 선정을 무효화하고 법적 절차를 밟아 사업추진을 다시 하겠다는 것이다. 한남5구역의 한 관계자는 "공공관리제에 따라 정비업체 선정 등의 작업을 새롭게 시작할 것"이라고 전했다. 문제는 이 곳의 사업일정이 상당 기간 지연될 수밖에 없다는 점이다. 한남5구역은 지난해 6월 한남뉴타운 최초로 추진위를 만들고 지난해 말에는 조합원들의 구체적인 분담금 액수까지 공개했으나 다시 원점에서 시작해야 할 처지가 됐다. 지난해 말 추진위가 공개한 사업계획안에는 ▦전체 493가구를 일반분양해 조합원 분담금을 낮추고 ▦전용 59㎡ 주택을 3억6,456만원에 조합원에게 공급할 것이라고 내용이 담겼다. 동빙고동 L공인의 한 관계자는 "재개발 반대파까지 등장한 마당에 추진위원장과 감사 등이 재판을 받게 되면 사업이 얼마나 더 늦어질지 가늠하기 힘들다"고 말했다. 최근 살아나는 듯했던 시장 분위기도 이번 검찰 기소로 다시 가라앉을 가능성이 크다는 게 현지 부동산 관계자들의 우려다. 현재 한남5구역의 다세대주택은 지분 60㎡ 내외의 물건이 3.3㎡당 4,000만원 안팎에서 거래되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