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북한 이산상봉 정례화 협조해야"

정부 2차 고위급 접촉 검토

정부는 이산가족 상봉 행사 개최를 북측에 촉구하며 상봉 행사 정례화를 위해 팔을 걷어붙이고 있다.


김의도 통일부 대변인은 26일 정례 브리핑에서 "정부는 이번 상봉 행사를 시작으로 앞으로 더 많은 이산가족이 상봉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해나갈 계획"이라며 "북한도 남북 이산가족의 한과 고통을 생각해 이산가족 문제 해결에 협조해 나오기를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3년4개월 만에 열린 19차 이산가족 상봉 행사는 지난 20일부터 엿새간 금강산에서 열려 우리 측 497명, 북측 316명 등 총 170가족이 상봉했다. 정부는 추가적인 이산가족 상봉 행사 개최를 위해 제2차 고위급 접촉 개최 등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북한이 14일 고위급 접촉에서 상봉 행사 개최에 최종 동의하며 '통 큰 결단'이라는 표현을 쓴 만큼 행사 재개 조건으로 금강산 관광 재개나 5.24 조치 해제 등을 요구할 것으로 전망된다.

정홍원 국무총리 또한 이날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영상 국무회의를 주재하며 상봉행사가 정례화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 총리는 "이번 상봉행사에서 보듯 이산가족 대부분이 고령화되고 있는 현실을 감안할 때 이산가족 문제는 더 이상 늦출 수 없는 시급한 과제"라며 "북한은 이산가족의 절박한 심정과 인도적 성격을 감안해 이산가족 문제 해결에 보다 전향적으로 호응해줄 것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정 총리가 지적했듯 1988년 이후 2013년 말까지 등록된 상봉 신청자는 총 12만 9,264명으로 이 중 44.7%인 5만 7,784명이 사망했다. 지난 한 해 사망자 수만 3,800여명이며 생존자 중 70대 이상이 80%가량을 차지, 상봉 정례화가 시급한 상황이다.

한편 박근혜 대통령이 전날 통일준비위원회 발족 구상을 밝힘에 따라 통일부와 역할이 중복되지 않느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에 대해 김 대변인은 "통일준비위원회는 국민적 통일 논의를 수렴하고 통합을 통해 통일 정책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할 것으로 본다"며 "통일부는 통일 정책의 주무 부처로서 국정운영의 핵심 과제인 한반도 통일시대 기반 구축을 앞으로도 변함없이 추진해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