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승강기조합 이재군 이사장(인터뷰)

◎“대기업 덤핑공세로 폐업증가 단체수의계약·구매선 다각화 힘쓸터”최근 건설경기침체로 승강기업체들이 유례없는 불황을 겪고 있다. 한국승강기공업협동조합은 불황타개를 위해 정부 및 공공기관과 단체수의계약과 공동구매 확대를 서두르고 있다. 한국승강기공업협동조합의 이재군 이사장(51)을 만났다. ­승강기업계 동향과 올 시장전망은. ▲건설경기 침체가 계속돼 관련업종인 승강기시장도 매우 불투명한 상황이다. 특히 연간 1조원 규모에 육박하는 승강기시장 중 80%를 차지하고 있는 동양에레베이터 현대엘리베이터 LG산전 등 상위 3사가 시장확대를 가속화하고 있어 87개 중소업체(조합원사 기준)의 입지는 더욱 좁아지고 있다. 올해 승강기 신규수요가 2만대를 넘지 못할 것으로 보이는데 상위 3사만 생산규모가 연간 2만4천대에 이른다. 더욱이 이들 업체의 생산시설 확충으로 공급과잉현상이 심화돼 덤핑판매 등 시장질서가 어지러워지고 있다. 이에 따라 지난해 10여개에 달했던 중소기업 폐업체 수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우려된다. ­엘리베이터에 이어 에스컬레이터가 독과점품목으로 새로 지정돼 중소업계에는 긍적적인 효과가 예상되는데. ▲독과점품목으로 지정되면 공정거래위원회에서 시장조사를 통해 불공정거래행위 등에 대해 제재를 가하게 된다. 그러나 기존에 독과점으로 지정된 엘리베이터의 경우 상위 3사의 시장점유율이 증가하는 등 오히려 독과점이 심화되고 있다. 그러므로 별 효과가 없는 독과점지정을 통한 규제보다는 대기업들이 스스로 덤핑을 자제하고 중소기업시장을 어느 정도 인정하려는 자세를 갖는 것이 더 중요하다. ­중소업체들의 자구노력은. ▲20여사를 제외하고는 영세업체라 자금 인력난으로 기술개발 여력이 없는 형편이다. 다만 일부 업체를 중심으로 신규 틈새시장인 2­3인용 소형 엘리베이터 개발에 노력하고 있다. 관련전문가들은 중소 승강기업계가 소규모 물량위주의 소극적인 수주전략을 탈피, 소형 엘리베이터를 비롯한 승강기 기술개발을 확대해 경쟁력을 갖춰야 한다고 조언하고 있다. 특히 노령화사회에 접어든 일본 등 선진국에선 보편화돼 있는 소형 엘리베이터는 국내에서도 오는 2천년 시장규모가 2천억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는 등 시장전망이 밝다. ­올해 조합의 중점사업계획은. ▲95년 7월 조합설립 이후 단체수의 계약품목으로 지정받았던 화물용 승강기에 이어 올해 분속 60m이하 승객용 승강기도 단체수계약품목으로 추가로 지정받았다. 관련기관에 홍보를 강화하고 있어 지난해 42억원에 불과하던 수주물량이 65억원까지 늘 것으로 예상된다. 또 지난해 3·4분기부터 시작한 공동구매 업을 활성화 와이어로프 등 일부부품에 한정됐던 품목을 늘리고 구매선을 다각화 해 조합원사의 원가비중을 줄이는데 노력할 방침이다.<문병도>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