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시간제 근로’ 급증…임금근로자 10명 중 1명꼴

시간제 근로자가 전체 임금 근로자의 10%를 넘어섰다. 지난해 600만명에 육박하던 비정규직은 감소했다.

25일 통계청의 ‘근로형태별 및 비임금 근로 부가조사 결과’를 보면 8월 현재 임금근로자는 1,773만4,000명으로 작년 같은 달보다 22만4,000명(1.3%) 늘었다. 이 중 비정규직은 591만1,000명으로 작년 같은 달보다 8만3,000명(-1.4%) 줄었고 정규직은 30만7,000명(2.7%) 증가했다. 임금근로자 중 비정규직 비중은 33.3%로 0.9%포인트 하락했다.

비정규직을 근로형태별로 나눠보면 한시적 근로자가 340만3,000명으로 4만명(-1.1%), 비전형근로자가 228만6,000명으로 14만1,000명(-5.8%) 줄어든 반면에 파트타이머가 많은 시간제는 182만6,000명으로 12만5,000명(7.3%) 늘었다.


이에 따라 임금근로자에서 차지하는 시간제 비중(10.3%)은 1년 전보다 0.6%포인트 상승하며 10%를 넘어섰다. 비정규직 내 시간제 비중(30.9%)은 2.5%포인트나 오르며 30%를 돌파했다. 여성 비정규직 중 시간제 비중은 1년 전 38.5%에서 지난 8월 41.8%로 3.3%포인트 늘었다.

관련기사



시간제 근로 확대를 정책적으로 뒷받침한 영향이 컸기 때문으로 보인다. 한시적 근로자는 계약기간을 정했거나(기간제), 기간을 정하지 않아도 계약의 반복 갱신으로 계속 일할 수 있는 경우와 비자발적 사유로 계속 근무를 기대할 수 없는(비기간제) 경우를 말한다. 비전형에는 파견ㆍ용역ㆍ재택ㆍ일일 근로자가 포함된다. 비전형 근로자 중에는 파견(8.8%), 용역(1.4%)이 늘었으나 일일근로(-9.4%), 가정 내 근로(-7.9%)는 줄었다.

비정규직을 연령별로 보면 20대가 101만6,000명으로 6만8,000명(-6.3%)이나 줄었다. 10대(3만6,000명ㆍ22.6%)와 60세 이상(5만8,000명ㆍ6.1%)은 큰 폭으로 늘었다.

산업별로는 제조업(-3만8,000명), 건설업(-2만6,000명)이 감소했고 도소매ㆍ음식숙박업(2만명), 사업ㆍ개인ㆍ공공서비스업(1만4,000명)은 증가했다. 직업별로는 단순노무종사자나 관리자가 준 반면에 서비스ㆍ판매종사자는 7만8,000명 늘었다. 도소매ㆍ음식숙박업과 서비스종사자에서 비정규직 증가는 자영업자가 불어난 데 따른 것이다.

/온라인뉴스부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