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IPO 기업들 공모가 20% 부풀려져

기업공개(IPO)에 나서는 업체들의 공모가가 정상적인 회사 가치보다 20%나 부풀려진 것으로 드러났다. 9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 2008년 초부터 2009년 말까지 IPO를 실시한 공모기업 가운데 주가수익비율(PER)에 근거해 공모가를 결정한 97곳의 평균 PER는 13.1배로 적용돼 같은 기간 상장사 평균(10.9배) 보다 19.8%나 높게 책정된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시장기준 보다 높은 PER을 적용한 회사의 상장 한달 후 평균 주가 상승률은 5.0%로 전체 신규 상장사 평균 상승률(13.6%)의 절반에도 못미친 반면 시장기준 보다 낮은 PER을 적용한 회사의 수익률은 이보다 높은 24.6%의 수익률을 기록한 것으로 나와 과대평가 된 기업일수록 주가 상승률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미래수익을 추정해 가치평가를 받은 59개사의 경우 이중 44개사의 실제실적이 예상실적을 밑돈 것으로 조사됐다. 예상실적과 실제실적의 차이가 평균 22.4%나 되는 등 상당한 수준의 과대평가가 이뤄진 셈이다. 기관투자자의 상장 초반 대량 매도도 신규상장사의 주가하락을 부채질한 것으로 드러났다. 금감원에 따르면 지난 2008년부터 지난 해 9월까지 신규 상장된 142곳의 공모물량을 분석한 결과 기관투자자들은 평균적으로 34.2%의 배정물량을 상장 당일 처분했으며, 4주 이내에 절반에 가까운 48.0%를 내다 판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증권회사와 자산운용사의 경우 상장 4주 안에 각각 배정 수량의 81.7%, 66.0%나 조기처분하며 주가하락을 주도했다. 유가증권시장의 경우 주가가 공모가를 밑돌 때 주로 기관 매도가 많아지는데다가 매도비중도 30% 수준에 불과했던 반면, 코스닥시장의 경우엔 주가가 공모가를 웃돌수록 기관 매도량이 늘고 매도비중도 50% 이상이나 돼 기관투자자들이 주로 코스닥 공모주식을 단기매도 대상으로 삼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금융당국은 이에 대해 증권신고서에 시장ㆍ업종 내 기업가치 평균치 기재를 의무화하고 중ㆍ장기투자 성향의 기관투자자에 물량배정을 권유하는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금감원의 한 관계자는 “이르면 한달 후부터 IPO기업들이 PER 등을 사용해 기업가치를 따질 경우 투자자들이 시장ㆍ업종 내 기업가치 평균과 비교할 수 있도록 증권신고서에 이를 의무적으로 기재토록 할 계획”이라며 “금융투자협회와 함께 기관의 투자성향에 등급을 매겨 중ㆍ장기 투자 성향의 기관에 주로 물량을 배정토록 하는 가이드라인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