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9호선 때문에…"서울시 IR 흥행 빨간불

호주 자산운용사 11곳 초청 17일 인프라 유치 설명회

'대표 주자' 맥쿼리는 빠져

지하철 9호선 놓고 앙금 여전 SOC 민자 유치 차질 우려

맥쿼리 연쇄 철수 가능성도

세계적인 자산운용사인 호주 맥쿼리가 이달 중순 예정인 서울시 주최 투자설명회(IR)에 불참할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 10개 이상 도로나 터널 등에 투자하고 있는 맥쿼리자산운용은 지난해 서울시와 지하철 9호선 재구조화를 놓고 갈등을 빚다 결국 사업을 매각하고 철수한 적이 있어 이번 불참으로 갖가지 억측이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이번 설명회는 도로나 터널 등 대체투자에 전문성을 보이고 있는 호주의 주요 자산운용사들을 초청해 국내 투자처 물색 등을 위한 것이지만 이 분야 최고를 자랑하는 맥쿼리가 빠지는 바람에 흥행도 장담하기 어렵게 됐다.

8일 서울시와 금융감독원 등에 따르면 시는 오는 17일 호주 자산운용사 11개 업체를 초청해 여의도 콘래드 호텔에서 대규모 투자설명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이 자리에는 호주의 상위 자산운용사들이 대거 참석할 예정이지만 맥쿼리는 불참이 확정됐다. 최종 참석 명단은 서울시와 금감원 등이 호주 자산운용사협회측과 조율해 결정된 것으로 알려졌다. IR을 준비 중인 한 실무자는 "오는 17일 호주의 상위 자산운용사 대표들을 초청해 투자설명회를 열 계획인데 최종 참석자 명단에 맥쿼리는 빠져 있다"고 말했다.

맥쿼리가 불참한 것은 서울시와 지하철 9호선 재구조화를 놓고 갈등을 벌인 이후 앙금이 남아 있기 때문이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맥쿼리는 지하철 9호선 건설 사업에 민자사업자로 참여해 지분 24.53%를 보유한 2대 주주였지만 서울시와 요금인상을 놓고 첨예한 갈등을 벌이다 지분을 모두 팔고 철수했다. 이 과정에서 맥쿼리는 예상 운임수입의 부족분을 지원받도록 돼 있는 최소운영수입보장제(MRG)는 물론 협약으로 보장된 13% 수익률(세후 8.9%)도 포기했다. 맥쿼리는 MRG 등 불평등한 계약 조건으로 서울시의 재정을 좀먹었다는 비난 여론에 밀려 계약조건을 바꾸겠다는 서울시의 압력을 견디지 못하고 발을 뺀 것이다.


서울시는 맥쿼리 교체 이후 "사업자 수익률 인하로 앞으로 26년간 지급해야 했던 재정보조금을 5조원대에서 2조원대로 줄여 최대 3조원의 재정 절감효과를 보게 됐다"고 설명했지만 맥쿼리는 상당한 불만을 가졌던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기사



일부에서는 맥쿼리가 '9호선 갈등'을 계기로 한국 사회간접자본(SOC) 투자를 보이콧하려는 게 아니냐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금융투자(IB) 업계는 "시의 재정을 아낀 것까지는 좋지만 지자체(서울시)가 민간 계약을 뒤흔드는 조치(자본재구조화)로 국내 SOC 투자에 대한 매력도를 떨어뜨려 앞으로 있을 민자유치 사업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IB 업계의 한 관계자는 "9호선 계약 당시 시점과 현재의 금리 상황 등을 단순 비교하면 사업자의 수익률이 높아 보이지만 SOC 특성상 장기간 투자가 필요하다는 점에서 이 기간 동안의 투자리스크를 감안해 주는 게 일반적인 룰"이라며 "지자체가 나서 민간계약을 변경한 것은 앞으로 있을 외자유치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지적했다. 맥쿼리는 광주 제2순환도로를 포함해 부산 수정산터널·백양터널 등을 놓고도 해당 지자체와 갈등을 벌이고 있는 등 곳곳에서 지역 여론의 반발을 사고 있는 상황이다.

국내에서 반 맥쿼리 정서가 확산될 경우 맥쿼리의 연쇄 철수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IB업계 관계자는 "맥쿼리가 펀드를 통해 SOC사업에 투자를 한 상황이어서 기존에 주주들에게 제시한 수익률 등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며 "그러나 기업이미지 실추가 기업가치 손실 등을 따져 (서울 9호선과 같은 방식으로) 사업철수를 검토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일부에서는 서울시가 맥쿼리를 의도적으로 초청하지 않은 게 아니냐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이에 대해 서울시 관계자는 "9호선 갈등도 있고 해서 맥쿼리 참석이 (시 입장에서는) 오히려 부담스럽지 않겠느냐"며 애매하게 말했다.

어쨌든 맥쿼리 불참으로 투자 설명회 흥행에 차질은 불가피해 졌다. IB업계 관계자는 "세계적으로 인프라투자 노하우가 많은 맥쿼리가 빠졌다는 점에서 김이 빠질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특히 서울시는 이번 행사를 통해 호주 자산운용사들의 국내 진출을 적극 독려할 계획이었지만 대표 선수격인 맥쿼리가 불참하면서 행사의 의미가 퇴색됐다는 게 대체적인 분석이다.


김홍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