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건설사들 '냉가슴'

미분양 판촉 못하게 하고<br>잔금까지 깎아 달라 하고


"미분양 아파트에 대해 공개적인 판촉활동을 하지 못하게 하고, 잔금도 할인해 달라고 하고…" 건설사들이 준공후 미분양 아파트 판촉문제를 놓고 벙어리 냉가슴을 앓고 있다. 서울 영등포구에서 준공 후 미분양 아파트를 판매하고 있는 A 건설사는 최근 공개적인 미분양 판촉 및 홍보 활동을 모두 중단했다. 미분양 할인판매 상황을 대대적으로 알려 빨리 미분양을 해소하고 싶지만 입주민들이 '미분양 아파트'라는 꼬리표가 붙는 것에 반발해 공개판촉을 하지 못하게 했기 때문이다. 비슷한 이유로 경기 남부에서 준공 후 미분양 아파트를 팔고 있는 B건설사는 최근 인터넷 포털 사이트 등에서 해당 내용을 모두 삭제했다. 가뜩이나 약세인 집값이 더 떨어진다는 게 이유였다. B건설사 관계자는 "모든 인터넷 사이트와 언론에 미분양 물량을 노출시키지 않겠다는 것을 입주민들과 약속했다"며 "미분양을 파는 것보단 기존 계약자들을 입주시키는 게 더 중요한 상황인 만큼 무리한 요구라도 들어주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입주민의 이런 반발이 이해가 가지 않는 것은 아니지만 미분양 해소가 급한 업체로선 답답하기 그지없는 일이다. 더구나 입주와 함께 시작되는 잔금 납부 과정에서 기존 계약자들이 가격 할인도 요구해 건설사들의부담이 커지고 있다. 미분양아파트 할인판매를 실시하고 있는 단지에서 이런 요구는 더욱 거세다. 서울의 도심에서 C건설사가 분양한 신규 입주 아파트의 경우 현재 미분양 물량에 대해 약 1억 원에 가까운 할인을 하고 있고, 기존 계약자들에게는 중도금(이자 후불제 적용)에 대한 이자를 면제해 주고 있다. 이렇게 하면 기존 계약자들도 약 3,000만~4,000만 가량 할인 혜택을 받게 되지만 계약자들은 추가로 취ㆍ등록세 지원도 요구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 건설사 관계자는 "취ㆍ등록세까지 지원할 경우 잔금을 1억원이 넘게 할인해주는 건데 이렇게 되면 분양을 왜 했는지조차 의문이 생길 정도"라고 말했다. 이 같은 진통은 하반기에 더욱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올해 하반기 수도권에만 입주물량이 7만 7,000가구가 몰려 있기 때문이다. 미분양 문제가 극심했던 고양 등 수도권 북부 지역의 경우 올해 초 영종도에서 일어난 계약 취소 사태가 재연되는 것 아니냐는 불안감이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