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창조경제 이끄는 기업] 포스코, 임직원 창의적 아이디어 발굴땐 즉시 적용

올 1월 송도 글로벌리더십센터에서 열린 '제4회 포스코 아이디어 육성캠프'./사진제공=포스코


정준양 포스코 회장이 올해 1월 CEO포럼에서 청사진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제공=포스코

최근 '창조경제'가 화두로 회자되고 있지만 포스코는 이미 4년 전 '창조경영'을 CEO 경영철학으로 선포했다. 포스코는 임직원의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발굴해 현장에 즉시 적용하는'궁즉통(窮卽通)' 활동을 펼치는 한편 벤처기업 육성 및 지원을 통한 일자리 창출에 적극 힘써왔다.

정준양 회장은 2009년 2월 취임 후 '열린경영·창조경영·환경경영'을 경영철학으로 삼겠다고 밝혔다.


3대 경영철학 중 특히 창조경영은 1968년 자원은 물론 기술이나 인력, 자금 등 어느 하나도 갖춰져 있지 않던 철강불모의 땅에 그야말로 무에서 유를 창조한 창업정신을 바탕으로 새로운 도약을 이뤄내겠다는 다짐이다. 열린경영은 소통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것이며, 환경경영은 철강산업 특성상 에너지 사용량이 많기 때문에 근본적으로 환경을 중시하는 것이 기업윤리에 맞는다는 의지를 표명한 것이다.

정 회장은 당시 취임사에서 "기술 모방과 기술 추격의 한계를 뛰어넘어 포스코 고유의 기술을 창조해나가는'창조경영'을 하고자 합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기존 월드 퍼스트·월드 베스트 기술개발과 더불어 창의적 사고를 통해 고객에게 가장 많이 판매할 수 있는 월드 모스트 제품을 확보해나가야 합니다. 창조경영은 궁극적으로 고객가치 창출을 지향해야 하며 기술·시장·고객에 대한 세밀한 관심에서부터 시작하도록 하겠습니다"라고 말했다.

정 회장의 창조경영 철학을 기반으로 현재 포스코는 세계적인 철강전문 분석기관인 월드스틸다이내믹스(WSD)로부터 2010년부터 2013년까지 4년간 6회 연속 '세계 최고 경쟁력을 가진 철강사'로 선정됐다. WSD는 근로자의 숙련도·생산성·기술력 등을 가늠하는 혁신기술력 분야에서 최고점을 줬고, 고부가가치 제품 확대에도 높은 점수를 부여했다.

최근 극심한 철강경기 불황으로 철강업계의 주가가 다소 떨어진 상태지만 연간 생산량 1억톤에 육박하는 아르셀로미탈이나 5000만톤에 이르는 신일철주금보다도 시가총액이 높은 것 역시 포스코의 경쟁력을 보여주는 지표다.

원료의 사전 가공처리 없이 바로 투입해 쇳물을 뽑아냄으로써 환경적·경제적으로 경쟁력이 뛰어난 신공법인 파이넥스공법은 포스코 고유기술로 세계 철강인에게 부러움의 대상이 되고 있다. 세계 최초의 개발 제품이라는 의미의 월드 퍼스트 제품과 가장 품질이 우수한 월드 베스트 제품 비중도 현재 20%에 육박하고 있다.

포스코는 일자리 창출에도 앞장서고 있다. 설비자동화 비중이 점점 높아지는 철강업종 특성상 설비 확충으로 기본적으로 일자리 증가에는 한계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벤처기업 육성을 위한 '아이디어 마켓플레이스'를 연 3회 개최해 청년 일자리 창출에 앞장선다. 이런 지원 역시 정준양 회장의 창조경영에서 출발했다.

포스코는 우수한 아이디어를 보유한 초기벤처기업들을 발굴해 멘토링 과정을 거쳐 투자 및 사후관리하며 시장에서 자생력을 갖출 수 있도록 지원하는 '포스코벤처파트너스' 프로그램을 운영 해오고 있다. 그 결과, 2011년부터 지원해온 23개 벤처기업의 고용직원이 포스코 지원 전 186명에서 217명으로 총 15.2%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포스코는 벤처파트너스 프로그램을 통해 2012년 말까지 총 23개의 벤처기업을 발굴했으며 포스코가 약 44억원, 중소기업진흥공단·한국기술보증기금 등 사업 연계성이 있다고 판단한 외부투자자가 약 28억원 등 총 72억여원을 투자했다. 최근 조업기술 발달로 1조8,000여 원이 투자된 공장에서 근무하는 인원이 150여명에 불과한 것과 비교하면 벤처기업 육성이 고용창출에도 훨씬 긍정적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관련기사








철강 넘어 종합소재기업 발돋움

김광수기자

정준양 회장은 포스코가 영속하는 기업이 되기 위해서는 철강 본업과 함께 소재사업을 육성해 종합소재기업으로 거듭난다는 비전을 제시했다. 종합소재 사업은 포스코가 미래의 녹색성장에 필요한 고강도 초경량 기초 혁신소재와 미래 신소재를 생산 공급하는 종합소재 공급사로 발돋움하기 위해 추진하는 사업이다.

소재산업은 포스코가 보유한 철강제조의 핵심역량을 가장 잘 활용할 수 있는 분야로 성공 가능성이 높고, 글로벌 시장규모도 7,000조원으로 매우 크다.

포스코는 이미 2012년 2월 세계최초로 염수에 화학반응을 일으켜 리튬을 직접 추출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종전 자연 증발 방식의 리튬 추출이 최소 12개월이 걸리지만 포스코의 신기술은 1개월 이내에 추출이 가능하다. 리튬 회수율도 종전 최대 50%에서 80%까지 높일 수 있는 혁신적 기술이다. 포스코는 2013년 칠레에서 파일럿 공장 가동을 마치고, 상업생산이 가능한 절차를 준비하고 있다.

포스코는 그간의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2009년 카자흐스탄에서 UKTMP사와 합작해 티타늄슬래브 공장을 착공, 2011년 11월 마그네슘 소재를 얇은 판재로 압연하는 기술을 바탕으로 순천 마그네슘 판매공장을 가동해 일본 도요타 자동차의 계열사 도요타통상과 마그네슘 소재 공급계약을 체결했다. 2012년 11월에는 강원도 강릉 옥계면에 국내 최초로 자체 광석을 활용한 1만톤 규모의 마그네슘 제련공장을 준공해 마그네슘 잉곳을 생산하고 있다.

철강 제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인 코크스·피치·타르 등을 활용해서는 그래핀·침상코크스·등방흑연소재 사업을 추진하며 탄소소재 국산화와 자원재활용을 통해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기반을 다져왔다.

지난해 4월에는 LG화학과 2차전지 소재 공급에 대한 양해각서를 체결했으며, 종합화학소재 전문 계열사인 포스코켐텍은 올해 4월 일본 미쓰비시상사ㆍ화학과 합작해 광양에 국내 최초로 침상코크스를 제조할 수 있는 공장을 착공했다. 침상코크스는 철강 제조 부산물인 콜타르를 가공해 만들어지며, 전기적 특성이 뛰어나 전극봉·반도체·LED·2차전지 등에 주로 사용되는 고부가가치 소재다.

포스코는 지난 7월 광양제철소에 자동차 부품 핵심원료인 철 분말을 생산하는 공장을 착공해 신성장동력의 기틀을 마련했다. 오는 2014년부터 본격적으로 생산이 시작되면 국가적으로는 연간 1,200억원 이상의 수입대체효과를 거두고 국내 자동차 부품 산업의 경쟁력 또한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김광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