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현대·기아차의 새 도전] 정몽구회장 '글로벌 현장 경영' 진가 빛난다

텐트생활하며 공장건설 독려 뚝심의 승부사<br>고령에도 해외 생산현장 돌며 품질경영 역설<br>민간외교로도 이어져 여수박람회 유치 맹활약


정몽구회장 '글로벌 현장 경영' 진가 빛난다 [현대·기아차의 새 도전]텐트생활하며 공장건설 독려 뚝심의 승부사고령에도 해외 생산현장 돌며 품질경영 역설민간외교로도 이어져 여수박람회 유치 맹활약 김성수 기자 sskim@sed.co.kr 관련기사 • 품질 경영 발판 '글로벌 톱4' 힘찬 질주 • 정몽구회장 '글로벌 현장 경영' 진가 빛난다 • 작년 총매출 103兆 GDP의 11.6% • "제네시스 앞세워 명품브랜드 도약" • "세계 車업체중 가장 빠른 성장" • "수익성 강화에 역점…올핸 흑자 전환" • 세계 車부품업체로 발돋움 • 외형성장보다 내실다지기 주력 • 일관제철소사업등 올 2兆투자 • 세계철도차량 시장 '빅4' 성큼 • "車전자장치 글로벌 리더로" • 주택등 사업영역 공격적 확장 • 출혈 경쟁 지양 수익성 개선 초점 정몽구(사진) 현대ㆍ기아차그룹 회장이 경영 일선에서 가장 강조하는 것은 ‘돌관정신’(突貫精神)이다. 단숨에 일을 해결한다는 뜻이다. 이는 선친인 정주영 전 현대그룹 명예회장으로부터 배운 경영덕목인 ‘하면 된다’ ‘반드시 해낸다’에서 비롯된 것으로 정 회장 특유의 ‘뚝심경영’이나 ‘속도경영’과 일맥 상통한다. 또 정 회장의 좌우명인 '일근천하무난사'(一勤天下無難事ㆍ부지런하면 세상에 어려울 것이 없다)도 ‘현장경영’과 ‘품질경영’ 속에 고스란히 녹아 있다. 정 회장의 돌관정신이 유감없이 발휘된 에피소드 한 토막. 지난 77년 정 회장은 당시 현대정공에서 컨테이너 사업을 추진하던 중 공장이 건설되기도 전에 해외에서 컨테이너 5,000개를 수주했다. 납기를 맞추려면 완공시기를 5개월 가량 앞당겨야 하는 상황. 그는 공사현장에서 텐트를 치고 지내면서 공장 건설을 독려했다. 현대차의 중국 진출 과정은 정 회장의 추진력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다. 현대차는 중국 정부의 인가를 받기도 전에 공장 설비를 갖추도록 했다. 이 덕분에 중국 합작공장인 베이징현대차는 정부 승인을 받은 지 불과 2개월 만에 생산에 들어갔다. 외환위기 때 부도를 낸 기아차를 인수해 단 1년 만에 법정관리에서 탈출시킨 것도 정 회장의 돌관정신의 결과물로 평가받고 있다. 그의 타고난 근면함과 뚝심은 돌관정신의 밑거름으로 작용하는 동시에 현대ㆍ기아차를 글로벌 기업으로 이끈 ‘현장경영’으로 이어진다. 정 회장은 지난해 현대모비스 30년사 발간기념 인터뷰에서 “현대정공 시절은 아주 좋은 경영 학습의 장이었으며 이 때의 경험을 바탕으로 지금도 한 달에 한 번 정도는 국내외 공장을 방문해 현장을 챙기고 있다”면서 “현장경영과 품질경영은 일근천하무난사라는 좌우명에서 비롯됐다”고 회고한 바 있다. 정 회장은 “현장에서 보고 배우고, 현장에서 느끼고, 현장에서 해결한 뒤 확인까지 하는 삼현주의(三現主義)의 실천이 현장경영의 요체"라고 밝혔다. 현장경영이 몸에 밴 정 회장은 지난해 직접 방문한 나라만도 인도, 슬로바키아, 브라질 등 모두 9개국에 이른다. 정 회장은 칠순에도 불구하고 직접 생산현장을 챙기지 않는 게 이상할 정도로 해외 생산기지도 꼼꼼히 살피며 임직원들에게 품질을 강조한다. 또 해외 현장경영은 민간 외교활동으로도 이어졌다. 해외 생산기지를 자주 찾다 보니 현지국가의 고위 공무원 등 오피니언 리드들과 교류할 기회가 많은데 정 회장은 이를 민간 외교로 활용하고 있다. 지난해 11월 2010년 여수세계박람회 유치 과정에서 결정적인 공을 세운 정 회장의 활약상도 이 같은 현장 경영이 빛을 발한 케이스다. 정 회장의 몸을 아끼지 않은 현장경영에 대해 해외 언론들도 찬사를 보내고 있다. 비즈니스위크지와 아시아머니지는 정 회장을 '2004 최고의 CEO'와 '2004 한국의 베스트 CEO'로 각각 선정했다. 포브스지도 “정 회장이 현대차 성공의 원동력“이라며 극찬했으며 미국의 유명 자동차 전문지인 오토모티브뉴스는 정 회장을 ‘2005년 자동차부문 아시아 최고의 CEO’로 뽑았다. 강철구 자동차공업협회 이사는 “정몽구 회장의 현장경영과 품질경영이 해외 유명 언론에 소개되면서 현대ㆍ기아차그룹의 이미지와 신뢰가 높아진 것은 물론이며 한국 자동차산업의 위상도 높아졌다”고 평가했다. 입력시간 : 2008/01/30 15:20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