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토요산책] 온달장군과 아차산성


고구려의 온달 장군이 신라에 빼앗긴 한강 이북을 탈환하기 위해 590년(영양왕 1년) 출정했다가 전사한 곳이 서울 광진구 아차산성(阿且山城)으로 잘못 알려져 있다. 광진구는 아차산생태공원에 온달과 평강공주의 동상까지 세워 놓았다. 광진구 중곡동에는 평강공주의 동상도 있다.

삼국사기 온달열전에 따르면 온달이 전사한 곳은 아차산성이 아니라 아단성(阿旦城)이라고 했다. 온달이 신라에 빼앗긴 고토를 수복하고자 출정한 것은 영양왕 즉위 직후인 590년 10월. 온달이 수복하려던 '계립현(鷄立峴)과 죽령(竹嶺) 서쪽'은 현재 강원도 지방 대부분이다. 온달열전은 '신라군과 아단성 밑에서 싸우다가 유시(流矢)에 맞아 죽었다'고 했다. 온달이 전사한 아단성은 어디일까.


온달 전사한 아단성은 아차산성 아냐

지금까지 아단성을 아차산성으로 비정해온 것이 학계의 정설이 되다시피 했다. 아차산성을 아단성으로 추정한 이유는 첫째, 아단의 '단(旦)'과 아차의 '차(且)'두 글자의 모양이 비슷한 데서 비롯된 착각과 견강부회의 결과요, 둘째는 한강 북쪽에 위치하기 때문이었다. 즉 온달의 말 가운데 '신라는 우리 한수 이북의 땅을 빼앗아 군현으로 만들었으므로…'라는 구절을 들어 온달의 마지막 싸움터를 오늘의 서울 한강 북쪽 아차산성으로 추정한 것이었다. 하지만 삼국사기를 비롯한 어느 사서나 지리지를 찾아봐도 아차산성이 곧 아단성이란 대목은 없다.


또한 '한수 이북'을 두고 말하더라도 한강 하류인 오늘의 서울 강북만이 아니라 남한강 상류 이북은 모두 해당된다. 즉 온달이 가리킨 한북의 땅은 죽령 이북, 고현 이내의 10군인 오늘날 강원도 대부분과 충북 일부를 가리킨 것이다. 이 가운데 충북 단양군 영춘면은 본래 고구려의 을아단현(乙阿旦縣)이니 삼국사기 지리편에 따르면 아단 두 글자가 붙은 지명은 오로지 이곳밖에 없다.

관련기사



옛 지명이 을아단인 영춘면에 가면 성산이 있고 그 정상부에 온달이 쌓고 온달이 이곳을 되찾기 위해 싸우다가 전사했다는 전설에 따라 오래 전부터 사람들이 '온달성'이라고 부르는 고구려 산성이 있다. 사적 264호로 지정된 온달성 아래에는 천연기념물 261호인 온달동굴이 있고 근처에는 온달의 묘라고 전해오는 고구려식 대형 적석총도 있으며 '활고개' '진거리' '쉬는돌' '비마루' '대진목' '군관나루'등 온달장군과 평강공주의 전설이 서린 지명이 많다.

삼국사기 열전에 따르면 졸지에 총수를 잃은 고구려군이 온달의 유해를 군영으로 옮겼다가 도성으로 운구하려고 했으나 영구가 땅에 얼어붙은 듯 꼼짝하지 않았다. 이에 평양 장안성에서 공주가 와서 관을 어루만지며 "죽고 사는 것은 이미 결정됐습니다. 이제 돌아갑시다!"하자 그제야 관이 움직였다고 했다. 관이 움직이지 않았을 리는 없고 온달의 전사를 원통하게 여긴 군사들의 발길이 차마 떨어지지 않았다는 뜻일 것이다.

아차산 주변 온달 상품화 지나쳐

북한의 평양 도심에서 동남쪽으로 22㎞ 지점인 평양시 역포구역 용산리 동명왕릉 인근에 진파리 4호 무덤이 있는데 북한 측에서는 이것이 바로 평강공주와 온달장군의 합장묘라고 주장하고 있다.

광진구는 395억원이나 들여 고구려역사문화관 건립을 추진하면서 온달장군의 묘까지 재현할 계획이라고 한다. 지역경제 활성화를 도모하는 것도 좋지만 있지도 않았던 묘를 만들어 우리 스스로 역사적 사실을 왜곡하는 일은 삼가야겠다. 아차산성은 온달이 전사한 아단성이 아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