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전경련, “중소기업적합업종에 두부 제외해야”

전국경제인연합회는 대기업의 두부시장 참여로 위생상태가 좋아지고 양질의 일자리가 생기는 등 긍정적 효과가 커 중소기업 적합업종에서 두부를 제외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전경련은 22일 ‘주요 품목의 중소기업적합업종 타당성 분석’ 보고서에서 두부 사업이 중소기업 적합업종에서 빠져야 하는 5가지 이유를 설명하며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는 소비자가 두부를 살 때 제조회사 및 브랜드, 위생과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하는데 2006년 대기업이 두부시장에 진출하면서 두부의 위생수준이 크게 향상됐다고 주장했다. 2005년 15.8%인 두부의 식품안전기준 위반비율이 대기업의 사업 참여 이후 점차 낮아져 2008년에는 2005년보다 10.4%포인트 감소한 5.4%로 개선됐다는 것. 보고서는 또 두부산업 종사자의 평균 임금이 2004년 1,450만원에서 대기업이 사업에 진출한 이후인 2008년 1,970만원으로 높아져 양질의 일자리가 늘어났다고 전했다. 대기업이 기존의 판두부 시장과 차별되고 소비자의 입맛과 기호에 맞는 포장 및 대용식 두부 시장 등 새로운 상품시장을 개척해 두부산업의 발전을 주도한 점도 대기업이 계속 두부사업을 영위해야 하는 점으로 꼽았다. 아울러 두부시장은 중소기업 고유업종제도 해제 직전인 2004년 1개사의 시장점유율이 78%에 이를 정도로 독과점이 뚜렷하게 나타난 품목이어서 중기적합업종으로 지정되면 독과점 폐해가 재발할 우려가 크다고 지적됐다. 이와함께 두부가 국내 식품 중 수출산업으로 성장할 가능성이 유망해 대기업의 사업 참여가 지속돼야 한다고 보고서는 강조했다. 전경련 관계자는 “두부 섭취가 일상화한 일본, 중국은 물론 육류를 꺼리는 인도ㆍ이슬람권, 채식 선호 소비자가 증가하는 서구권 등 두부의 해외 수요가 늘어나고 있어 두부산업이 수출산업으로 성장할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전경련은 앞으로 데스크탑PC, 금형 등 주요 품목의 중기적합업종 선정과 관련한 입장을 밝히고 동반성장위원회에 건의할 예정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