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가계저축 비중 22.4%로 기업의 3분의 1 불과

60% 넘던 가계저축 비중 IMF 이후 고꾸라지기 시작

새경제팀 정책에 가계와 기업간 격차 축소 기대 높아

국내 총저축에서 가계와 비영리단체가 차지하는 비중이 22.4%로 기업의 3분의 1 수준에 불과해 쏠림 현상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금융투자업계와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가계와 비영리단체의 저축액은 89조원으로 전체(397조3,000억원)의 22.4%를 차지했다.


법인기업(금융 제외)의 저축액은 281조1천억원으로 총저축액의 70.7%에 육박했다. 금융기관(27조2,000억원)의 비중은 6.9%였다.

가계·비영리단체 저축 비중은 1991년 62.3%로 비금융 기업(33.2%)을 크게 앞섰다.

1990년대 내내 50∼60%를 차지한 가계저축 비중은 그러나 1998년(67.1%)을 정점으로 고꾸라지기 시작했다.

가계 저축 비중은 1999년 51.2%로 하락한 후 2000년(40.2%) 처음으로 기업(50.0%)에 역전을 허용했다.


가계와 비영리단체 저축 비중은 2002년 16.0%까지 주저앉았고 이후에도 20∼30%대 수준에 머물렀다.

관련기사



반면 기업이 총저축에서 차지한 비중은 2000년 50%대에 오른 이후 50%대 후반과 60%대에서 오르내렸다.

총저축에서 가계와 기업이 차지하는 위치가 뒤바뀐 것은 금융위기 이후 가계의 수익성이 크게 나빠졌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박석현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IMF(국제통화기금) 시기를 거치며 가계 수익성이 나빠진 이후에도 카드 버블과 과도한 부동산 투자 열풍이 가계 수익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줬다”고 설명했다.

국내 총저축에서 기업 부문의 비중이 많이 늘어난 것과는 달리 총투자에서 기업의 약진은 두드러지지 않아 기업 투자를 늘려야 한다는 지적도 있었다.

2012년 기준 국내 총투자에서 기업의 비중은 78.6%로 1990년대 평균(70.6%)에서 8%포인트 늘어나는데 그쳤다.

박 연구원은 “기업의 투자 활동이 둔화하는 시기에 기업의 과도한 유동성 축적을 완화하기 위한 수단이 배당 정책”이라며 “기업부문 대비 과도하게 위축된 가계 부문의 활력을 살리기 위한 정책적 노력이 어느 때보다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디지털미디어부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