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국가영어평가시험 2012년 시행

교과부, 수능영어 대체는 유보<br>초등교 영어수업 1시간 늘려

‘한국판 토플ㆍ토익’시험 역할을 할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이 오는 2012년 시행된다. 대학수학능력시험 외국어(영어)영역 시험을 폐지하고 국가영어능력시험으로 대체하겠다던 계획은 유보됐다. 교육과학기술부는 18일 ‘영어교육정책 추진방안’을 확정, 발표했다. ◇한국형 영어평가시험 도입=교과부는 토플ㆍ토익 등 해외 영어시험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고 학생들의 영어 의사소통 능력을 키우기 위해 학생용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을 도입하기로 했다.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은 읽기ㆍ듣기에다 말하기ㆍ쓰기 능력 평가까지 포함하는 인터넷 기반 시험(IBT)으로 개발될 예정이다. 난이도와 시험의 목적에 따라 1~3급으로 나뉘며 1급은 성인용 시험으로 해외유학 등에 사용되고 2등급은 영어 관련학과 대학입시용, 3등급은 대학입시용으로 일상회화 수준으로 개발된다. 교과부는 내년부터 일부 학생들을 대상으로 예비시험을 치르고 2010~2011년 시범 시행한 뒤 2012년부터 정식으로 시험을 실시할 계획이다. 한편 연초 대통령직인수위원회가 2013학년도부터 수능 외국어영역 시험을 폐지하고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으로 대체하겠다고 발표했던 내용은 의견수렴을 거친 뒤 2012년 수능대체 여부를 최종 결정하기로 했다. 문제는 2012년에 가서 수능대체 여부를 확정하더라도 유예기간 3년을 감안하면 일러야 2015년에나 가능해 대학입시를 준비하는 학생들과 학부모들을 더욱 혼란하게 만들 가능성이 높아졌다는 것. ◇초등학교 영어수업시간 확대와 전문강사 영입=초등학교 3, 4학년 영어 수업시간이 현재 주당 1시간에서 2010년부터 2시간으로, 초등 5~6학년은 주당 2시간에서 2011년부터 3시간으로 1시간씩 늘어난다. 교과부는 영어 수업시간 확대에 맞춰 학년별로 영어 교과서의 어휘 수를 늘리고 초등학교 6학년과 중학교 1학년 간 학습수준 격차를 완화시키는 등 영어과 교육과정 개편에도 착수할 계획이다. 초등 영어 수업시간 및 중ㆍ고교의 수준별 이동수업 확대에 따라 부족한 교사 수를 메우기 위해 내년부터 ‘영어회화 전문 강사제’를 도입하기로 했다. 초등 및 중등 영어교사 자격증 소지자 가운데 영어 능통자를 영어회화 전문강사로 채용해 일선 학교에 배치하는 제도로 시도 교육감이 인정하는 경우 교사자격증 미소지자도 일부 선발하도록 했다. 선발규모는 초등학교에서 최대 4,000명이며 내년 하반기까지 시도 교육청별로 채용을 마치고 2010년부터 각 초등학교에 배치할 계획이다. 중ㆍ고교 영어회화 전문강사는 최대 6,000명이 필요할 것으로 전망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