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GS, 브라질 정유공장 설립 참여

23조 프로젝트 LOI 체결… 성사땐 남미시장 수출거점 확보



GS에너지가 23조원 규모의 브라질 정유공장 프로젝트에 참여한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GS에너지는 최근 브라질 국영 석유업체인 페트로브라스와 브라질 세아라(Ceara) 지역에 대규모 정유공장을 짓는 프로젝트의 공동 추진에 대한 타당성을 검토하기로 하고 협약을 체결했다.


GS가 협약을 맺은 프로젝트는 페트로브라스가 브라질 내 정유제품 공급부족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추진하는 정유공장 건립계획이다. 페트로브라스는 각각 ▦프리미엄1 ▦프리미엄2라는 이름으로 정유시설 확대계획을 추진하고 있으며 GS는 이 가운데 프리미엄2 프로젝트에 참여한다. 국내외 업계에서는 프리미엄2의 투자규모를 약 200억달러(약 23조원)로 추산하고 있다.

프리미엄2 정유시설의 일간 생산량은 30만배럴 규모로 이는 국내 정유사 가운데 현대오일뱅크(39만 배럴/일)와 유사한 규모다. GS는 페트로브라스와 원유정제시설(CDU)부터 고도화 설비까지 일괄 건설하는 방안을 전제로 하고 있다. 이 시설에서는 저유황 디젤을 주로 생산하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GS에너지와 페트로브라스는 이번 협약을 통해 정유공장 설립의 시장성 검토부터 합작방식, 기술적 해결과제 등 세부사항까지 포괄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GS에너지 관계자는 "합작법인 형태가 좋을지, 사업을 어떻게 추진할지, 현지 디젤 공장에 적합한 기술과 해결과제는 무엇인지 등을 연구하고 있다"며 "두 회사가 주기적으로 정보와 연구결과를 가지고 교류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 관계자는 다만 "이번 협약문은 연구기한이나 프로젝트 투자나 참여 여부에 구속력이 없는 일종의 논바인딩(non-binding) 협약(LOI)"이라며 "백지상태에서 검토하는 것"이라고 밝혀 확대해석을 경계했다.

관련기사



업계에서는 브라질 정유공장 합작이 성사될 경우 GS는 정유사업의 지속성장 동력을 대폭 확충할 수 있을 것으로 평가했다. 황규원 동양증권 연구위원은 "정유업체들은 그동안 주사업인 정유사업 성장이 국내에서 한계에 부딪히면서 신규 사업으로 석유화학에 투자하거나 정유사업 해외진출을 추진해왔다"며 "페트로브라스의 정유공장 건설에 GS가 참여하게 된다면 단순히 국내 정유기술 수출이라는 상징적 의미를 넘어 실질적으로 정유사업의 돌파구를 마련하는 셈"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이번 합작이 가시화하면 GS는 남미시장에도 수출거점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브라질의 경우 심해원유 매장량이 사우디아라비아를 능가한다는 평가가 있을 정도로 시장성이 크다"며 "GS가 현지 공장 설립 및 운영에 성공한다면 브라질 내 미래 원유개발 사업까지 함께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아르헨티나 등 남미지역의 추가 정유시설 건립수요에 국내 기업들이 유력한 파트너 업체로 떠오를 수 있다"고 전망했다.

신중론도 있다. 페트로브라스가 가장 유리한 조건에서 파트너를 고르려 하는 만큼 GS의 참여를 낙관할 수 없다는 설명이다. 실제 SK이노베이션의 경우 인도네시아 석유기업과 현지 정유공장 건립계약 직전까지 갔다가 결국 태국 업체가 파트너로 선정되기도 했다.

한편 브라질 측은 프리미엄2 프로젝트를 추진하기 위해 시에라 주지사가 지난해 한국을 다녀가는 등 그동안 GS에 사업추진 가능성을 타진했다. 반면 GS는 현지 정유공장 설립과 관련해 구체적인 추진활동이 없다는 입장을 유지했다.

김흥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