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리퍼트 미국 대사 피습] "한미동맹 테러로 흔들릴 만큼 허약하지 않아… 더 튼튼해질 것"

■ 양국 관계는

정부, 양국 균열·파장 최소화 위해 긴급 접촉

美도 "동맹과 별개의 사건… 긴밀 협조" 강조

민간선 이번 사건으로 혐한 감정 야기 우려도

조태용 외교부 1차관이 5일 국회 외교통일위원회에서 열린 마크 리퍼트 주한 미국대사 피습 관련 간담회에서 피습 상황에 대해 보고하고 있다. /=연합뉴스

사상 초유의 주한 미국대사 피습 사건이 한미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특히 최근 과거사 문제나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 문제를 놓고 한미 공조체계에 균열 조짐이 있다는 관측이 제기되는 만큼 양국은 이번 사건에 따른 파장을 최소화하는데 주력할 것으로 보인다.


중동을 순방 중인 박근혜 대통령이 5일 마크 리퍼트 주한 미국대사 피습사건을 보고 받고 "이번 사건은 주한 미국대사에 대한 신체적 공격일 뿐만 아니라 한미동맹에 대한 공격으로 결코 용납될 수 없다"고 강도 높게 말한 것 역시 한미관계를 의식한 것으로 해석된다.

실제로 우리 정부는 사건 직후 미국과 긴밀히 접촉하면서 대책 마련에 나서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조태용 외교부 1차관은 5일 오후 긴급 소집된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간담회에서 "이번 사건과 관련해 한미 간 외교 채널을 통해 긴밀한 의사소통을 진행하고 있다"면서 "한미 두 나라는 한미동맹이 이번 사건으로 흔들리거나 손상될 만큼 허약한 관계가 아니며 한미동맹은 굳건하고 이번 사건 처리에서도 긴밀히 소통하고 한미동맹을 더욱 튼튼히 만들 수 있도록 의견일치를 봤다"고 강조했다.


우리 정부는 미국 주재 한국대사관을 통해 미 국무부 관계자들과 잇달아 접촉한 데 이어 신재현 외교부 북미국장이 주한 미국대사관의 에드워드 동 정무담당 공사참사관과 5일 오전 서너 차례 통화를 하면서 이번 사건이 한미동맹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긴밀히 협력하기로 했다.

관련기사



이는 웬디 셔먼 미 국무부 정무차관의 발언이 한국 측에서 오해를 산 직후 이번 사건이 발생한 만큼 한미동맹 및 한미관계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나 오해가 확산될 가능성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셔먼 차관은 지난달 말 한 세미나에서 과거사 갈등이 한국과 중국, 일본 3국의 공동 책임이라는 취지의 발언을 해 논란을 야기했으며 이에 대해 국무부가 해명한 바 있다.

외교부 당국자는 "미국 측은 이번 사건을 한미동맹이나 한미관계 등 여타 문제와는 관계가 없는 별개의 사건(isolated incident)으로 받아들이고 있다"면서 "미국은 한국정부가 신속히 정보를 공유해주고 관련 조치를 취하고 있는 데 사의를 표명했다"고 말했다. 미 국무부는 또 이번 사건이 한미동맹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한미관계를 잘 다져가자고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한미관계 전문가들도 이번 사건이 개인의 돌발행동이라는 전제 하에 양국이 사건을 확대하지 않고 되도록 빨리 봉합하려 할 것으로 전망했다. 윤덕민 국립외교원장은 "사건이 배후가 있거나 한 것이 아니라 개인적 돌발행동이라면 파장은 그리 크지 않을 것"이라면서 "사건의 진상을 잘 규명하고 처리하면 한미관계가 악화되지 않고 강화되는 계기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최강 아산정책연구원 부원장도 "정부 차원에서 보면 한국과 미국 모두 이 문제를 개인의 돌발행동으로 간주해 확대하지 않고 되도록 빨리 봉합하려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민간 차원에서는 한국에 대한 이미지가 악화돼 미국 내 혐한 감정을 야기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미국 자체로 간주되는 미국대사를 공격한 이번 사건은 미국 국민들에게는 미국이 공격 받은 듯한 충격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윤 원장은 "(김기종씨가) 한미연합훈련과 관련한 것을 의제로 삼았기 때문에 이런 일로 한국에 대한 인상이나 이미지에서는 타격이 있을 수 있다"고 우려했다. 최 부원장도 "이 사건이 갖는 이미지는 안 좋은 것이 사실"이라면서 "민간에서는 일부에서 혐한 감정으로 증폭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번 사건으로 일반인들의 주한 미국대사 접촉이 더욱 어려워질 것이며 한국에 상당한 손실이 될 것이라는 분석도 나왔다. 로버트 켈리 부산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블룸버그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이번 일로 미국 대사에 대한 일반 한국 시민의 접근성이 상당히 제한될 것"이라며 "이는 큰 손실"이라고 말했다.


노희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