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짜 줄기세포 파문에 휘말린 황우석 교수가 자기 연구팀의 연구 현황을 제대로 알고 있었는 지에 대해 의견이 분분하다.
국내 최대의 생명과학 연구팀을 이끄는 총책임자가 지금까지 줄기세포의 상태등 연구 핵심 정보를 잘 모르거나 틀리게 말한 경우가 많았기 때문이다.
황 교수는 지난 16일 서울대 기자회견에서 누군가가 연구진의 세포를 초기 배양단계에서 미즈메디 세포로 바꿔치기 했고 자신은 11월18일까지 보관하던 세포주가 가짜임을 전혀 모르고 있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학자들은 이 발언이 상식에 맞지않는다는 반응이다.
한 줄기세포 연구자는 "줄기세포주는 배양하는 과정에서 염색체 이상이 일어날가능성이 있어 3∼6개월 단위로 DNA검사를 하는 것이 기본"이라며 "연구 책임자로서 제대로 줄기세포 상태를 파악하고 있었다면 가짜로 세포가 뒤바뀌었다는 것을 오랫동안 모를 리가 없다"고 말했다.
황 교수가 지난 16일 해동을 거쳐 배양하면 줄기세포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면서 밝힌 냉동 줄기세포 5개의 숫자에 대해서도 같은 지적이 나오고 있다. 서울대 조사위원회가 분석을 의뢰한 냉동 줄기세포는 모두 8개로 2번, 3번 줄기세포를 빼더라도 6개가 된다.
줄기세포주는 각 라인(line)마다 고유 코드가 붙어있는 연구팀의 핵심 자산이다.
연구 총책임자가 이런 줄기세포가 몇개 냉동돼 있는 지를 잘못 얘기했다는 것 역시 쉽게 이해하기 힘든 대목이다.
황 교수는 지난 11월초 MBC PD수첩에 DNA 재검증을 위해 줄기세포 5개(2,3,4,10,11번)를 넘기면서 2번 줄기세포 대신 전혀 엉뚱한 세포를 주기도 했다.
당시 연구실의 줄기세포는 모두 미즈메디의 줄기세포로 `둔갑'한 상태로 PD수첩의 검사 결과도 다 미즈메디것으로 나와야 정상이었다. 그러나 이 검사에서 유일하게 결과가 나온 2번 시료는 미즈메디측 세포도 아닌 별개의 세포로 밝혀졌다.
황 교수는 설사 PD수첩을 속일 의도가 없었다고 해도 줄기세포를 혼동하는 이해가기 힘든 `실수'를 저지른 셈이다.
한편 지난 10월31일 황 교수를 직접 인터뷰한 PD수첩팀의 한 관계자는 "당시 황교수는 연구팀이 줄기세포가 언제 수립 했는가를 기억 못했고 테라토마 실험의 시행자와 장소에 대해서도 잘 알지 못했다"며 "논문의 제1저자가 주요 상황을 너무 모르는 것이 아닌가 싶을 정도였다"고 말했다.
황 교수는 당시 인터뷰에서 테라토마 실험을 서울대 수의대의 김대용 교수와 생명공학연구원에 맡겼다고 말했다가 당사자들이 이를 부인하자 `(다시 생각해보니)수의대 가건물에서 실험을 다 했다'며 말을 바꾼 바 있다.
황 교수의 이런 모습이 실제 연구 현황을 착각해 나오는 실수인지, 다른 의도에서 나온 것인지는 서울대 조사위의 최종 조사 결과가 발표될 다음달 초면 알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